보물 제308호 _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수 량 : 1동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문3길 1 (전동)
시 대 ; 조선시대 후기
읍성은 지방행정의 중심지가 되는 고을을 둘러쌓았던 성을 말한다.
옛 전주읍성의 남쪽문으로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파괴된 것을 영조 10년(1734) 성곽과 성문을 다시 지으면서 명견루라 불렀다. ‘풍남문’이라는 이름은 영조 43년(1767) 화재로 불탄 것을 관찰사 홍낙인이 영조 44년(1768) 다시 지으면서 붙인 것이다. 순종 때 도시계획으로 성곽과 성문이 철거되면서 풍남문도 많은 손상을 입었는데 지금 있는 문은 1978년부터 시작된 3년간의 보수공사로 옛 모습을 되찾은 것이다.
규모는 1층이 앞면 3칸·옆면 3칸, 2층이 앞면 3칸·옆면 1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다. 평면상에서 볼 때 1층 건물 너비에 비해 2층 너비가 갑자기 줄어들어 좁아 보이는 것은 1층 안쪽에 있는 기둥을 그대로 2층까지 올려 모서리기둥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이 같은 수법은 우리나라 문루(門樓)건축에서는 보기 드문 방식이다.
부재에 사용된 조각 모양과 1층 가운데칸 기둥 위에 용머리를 조각해 놓은 점들은 장식과 기교를 많이 사용한 조선 후기 건축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옛 문루건축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는 문화재이다.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표지판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표지석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건물규모는 1층이 앞면 3칸·옆면 3칸, 2층이 앞면 3칸·옆면 1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현판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2021.03.20. 전주 풍남문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325호_전 낙수정 동종 (0) | 2021.03.21 |
---|---|
보물 제569-7호_안중근의사유묵-용공난용연포기재 (0) | 2021.03.21 |
보물 제2033호_완주 갈동 출토 동검동과 거푸집 (0) | 2021.03.20 |
보물 제2117호_구미 대둔사 경장 (0) | 2021.03.16 |
보물 제2025호_구미 대둔사 심장보살도 (0) | 2021.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