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문화재자료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93호_청송 향교

기리여원 2021. 10. 29. 10:47
728x90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93호 _ 청송향교 (靑松鄕校)

 

수량/면적 : 1곽

지정일 : 2012.06.11

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월막리 251-1 외 5

 

청송향교는 조선 중기때 현지로 이건한 건물로 후에 많은 건축적 변화를 가지고 있는 향교이다. 대성전은 상부가구나 살미의 모습에서 1600~1700년대 모습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성문은 건축년대는 알 수 없고 작은 규모이지만 구조적으로 세밀하게 배려되어 있으며 특색 있는 모습으로 건축적 가치가 있다고 보여진다

 

청송향교 표지판

 

 

청송향교 전경

 

청송 향교는 세종 8년(1426)에 당시 청송 지군사(靑松 知郡事)로 있던 정지아(鄭之雅)가 굴동(屈洞)에 세웠다.

그 후 임진왜란으로 없어진 것을 선조 39년(1606)에 새로 부임한 이영도(李詠道)가 5년간 있으면서 국동(菊洞)에 대성전(大成殿)을 다시 지었다.  인조 7년(1629)에 부사 이구징(李久澄)이 3년 동안 있으면서 동무와 서무(西廡), 강당(講堂), 주사(廚舍)를 보충하고 고쳐 지었다.

숙종 19년(1693)에 부임한 부사 이문징(李文徵)은 교궁(校宮)의 지세가 맞지 않는다 하여 4년 동안 대성전과 딸린 건물을 지금의 자리인 방광산(放光山) 아래 월막동(月幕洞)으로 옮겨 세웠다.

 

청송향교 (靑松鄕校) 청아루(菁莪樓) 

 

건물은 대성전(大成殿)을 중심으로 앞쪽에 동무와 서무가 있고, 오른쪽으로 명륜당(明倫堂)과 동재(東齋)와 서재(西齋)가 있다. 입구에 청아루(菁莪樓)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동재(東齋)

 

 

서재(西齋)

 

 

강학공간인 명륜당(明倫堂)

 

 

명륜당(明倫堂) 현판

 

 

명륜당(明倫堂) 내부

 

 

대성전 삼문

 

 

동무(東廡)

 

 

서무(西廡)

 

 

대성전(大成殿) 

 

대성전에는 공자의 위패와 중국 5성(聖), 송조 2현(宋朝 二賢),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대성전(大成殿) 

 

 

대성전(大成殿) 

 

2021.10.24. 청송 청송읍, 청송 향교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