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6호 _ 거제향교 (巨濟鄕校)
수량/면적 : 11동/6,049
지정일 : 1982.08.02
소재지 : 경상남도 거제시 기성로7길 10 (거제면, 거제향교)
시 대 : 조선시대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조선 세종 14년(1432) 고현에 처음 세워졌으나 현종 5년(1664)에 거제에 옮겨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공부하는 곳인 명륜당과 동재가 앞에 있고 사당인 대성전과 동·서무가 뒤에 있는 전학후묘의 형태이다. 명륜당의 서쪽에 서재가 없고, 대성전의 규모가 명륜당에 비해 매우 큰 것이 특이하다. 다른 향교에 비해 영역이 넓으며 전체에 토속적인 돌담을 둘렀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전답, 노비·전적 등을 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제사만 지내고 있다.
거제향교 표지판
거제향교 표지석
거제향교 입구
대소인원계하마(大小人貟皆下馬)
벼슬을 하는 이나 아니하는 이나 모두 말에서 내리라고 새겨져 목사라 할지라도 말에서 내린다
현재 보수공사중인 외삼문(外三門)
거제향교의 건물배치는 교육공간을 앞쪽에, 제레공간을 뒤쪽에 두는 '전학후묘(前學後廟)' 양식으로 이는 조선시대 향교 건물배치의 일반적인 형태이다.
공자상(孔子像)
거제향교의 강학공간인 명륜당(明倫堂|)
명륜당의 건물규모는 앞면 5칸, 옆면 3칸으로 지붕은 겹처마 맞댄지붕의 목조건축물이다.
거제향교 명륜당 좌 · 우측면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 · 서재(東 · 西齋)
거제향교 제례공간
거제향교 내삼문(內三門)
거제향교 동 · 서무(東 · 西廡)
동 · 서무(東 · 西廡) 에는 조선시대 성현 16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거제향교 제기고
제기고에는 춘추향사 때 사용되는 향로와 술잔, 주발 등 놋쇠제기가 보관돼 있다.
거제향교 대성전(大成殿)
대성전 안에는 5성(五聖) · 송조2현(宋朝二賢), 그리고 신라 2현(薛聰 · 崔致遠) · 고려 2현(安珦 · 鄭夢周) 등의 우리 나라 14현(十四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거제향교 대성전(大成殿)
대성전의 건물규모는 앞면 5칸, 옆면 3칸으로 지붕은 겹처마 맞댄지붕의 목조건축물이다.
2025.04.21, 거제향교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유형문화재 > 경상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8호_밀양 표충사 고승진영 및 팔상도, 사명대사 진영 (2) | 2025.05.20 |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85호_하동 쌍계사 팔상전 신중탱 (57) | 2024.04.27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93호_안동 광흥사 응진전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 (0) | 2022.11.14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호_청량사 유리보전 (0) | 2022.10.30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21호_양산 통도사 건륭57년명 삼장보살탱 (0) | 2022.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