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5/07/01 4

이건희컬렉션, 이당(以堂) 김은호(金殷鎬)의 <화기>

_ 이당(以堂) 김은호(金殷鎬, 1892~1979, 인천 ), 1960년대, 비단에 색, 103×123.5cm,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컬렉션 이당(以堂) 김은호(金殷鎬, 1892~1979)는 최초의 근대적 미술교육 기관인 서화미술회 화과(畵科)에 들어가 당대 최고의 화가인 조석진, 안중식에게 사사하고, 이후 서과(書科)에서도 수학했다. 그림을 배우기 시작한 후 고종과 순종의 어진화사로 발탁되어 일찍부터 재능을 인정받았다. 그는 전통적 표현 방식을 토대로 서양화의 시각적 사실성과 일본화의 장식성과 채색기법을 가미하여 독자적인 양식의 인물화를 그렸다. 1925년 일본으로 유학한 후 1929년에 귀국하여 화실 낙청헌(絡靑軒)을 개설하고 후학 양성에 힘써 백윤문, 김기창, 장우성, 조중현, 이유태 등 유수한 화가..

보물 제1533호_해동팔도봉화산악지도

보물 제1533호 _ 해동팔도봉화산악지도 (海東八道烽火山岳地圖) 수 량 : 1점지정일 : 2007.12.31소재지 :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중앙도서관 (안암동5가,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인문사회계))시 대 : 17세기 후반 조선후기 전국의 봉수대를 그린 지도이다. 상단에는 붉은색의 전서체로 제목이 쓰여 있고, 각 지역 별로 백·적·황·갈·녹·청색의 동그라미에 지명이 적혀 있다.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봉수대는 산봉우리 위에 촛불처럼 그려져 있는데, 압록강과 두만강의 국경지대 및 경상도 지역에 밀집되어 있다. 지방의 읍치와 도서지역을 비롯하여 산맥과 산봉우리 그리고 하계망이 자세히 그려져서 봉수의 간선로를 일목요연하게 알아 볼 수 있다.이 지도는 조선시대 봉수로를 보여준다는 역사적 가치 외에도 ..

문화재/보물 2025.07.01

보물 제706호_중용주자혹문

보물 제706호 _ 중용주자혹문(1981-1) (中庸朱子或問(1981-1)) 수 량 : 1책지정일 : 1981.03.18소재지 :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중앙도서관 (안암동5가,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인문사회계))시 대 : 고려 공민왕 20년(1371) 『중용주자혹문(中庸朱子或問)』은 고려 공민왕 20년(1371)에 원나라로부터 수입하여 목판본으로 찍어낸 책으로, 송나라 주희가『사서(四書)』가운데 하나인『중용』에 대해 여러 문제점을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서술한 책이다.비교적 원본(元本)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으며, 글자새김이 정교하고 인쇄가 깨끗한 편이다. 현재 두 권이 전해지는데 한 권은 고려대학교도서관에서, 다른 한 권은 개인이 소장하고 있다.또한 책 끝에 홍호(洪虎) 4년(1371) 7월에..

문화재/보물 2025.07.01

보물 제417호_홍무정운역훈 권3~16

보물 재417호 _ 홍무정운역훈 권3~16 (洪武正韻譯訓 卷三~十六) 수 량 : 7책지정일 : 1965.04.01소재지 : 서울 성북구 안암로 145, 중앙도서관 (안암동5가,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인문사회계))시 대 : 조선 단종 3년(1455)홍무정운역훈 권3~16(洪武正韻譯訓 卷三~十六)은 조선 단종 3년(1455)에 출판된 금속활자본이다. 이것은 세종 때에 작업을 착수하였는데, 세종은 훈민정음을 창제한 후 한글에서의 한자음을 바로잡기 위해 세종 29년(1447)에『동국정운』을 완성했다. 다시 한자의 중국음을 정확히 표시하기 위해 명나라에서 엮은 한자의 운(韻)에 관한 책인『홍무정운』의 음을 한글로 나타낼 목적으로 시작한 것이 『홍무정운역훈』으로, 단종 3년(1455)에 16권 8책으로 완성되..

문화재/보물 2025.07.0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