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청송 여행 14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7호_청송 화지재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7호 _ 청송 화지재 (靑松 花池齋) 수량/면적 : 일곽 지정일 : 2013.04.08 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로 2201-55 (안덕면) 청송지역 영양 남씨 시조인 남계조의 묘를 지키기 위해 세운 재실이다. 이곳은 명당으로 건물과 비석,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향나무가 질서 있게 자리잡고 있다. 1670년경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확실하지 않으며 17세기 양식을 엿볼 수 있는 부분도 남아 있지 않지만 독특한 지붕 양식을 지니고 있다. 이 지역의 대표적인 재실 건축물로 민속적 가치를 지닌다. 청송 화지재 표지판 위 입간판에서 좌측으로 300m 가면 화지재를 볼 수 있습니다. 청송 화지재 전경 화지제 전경 화지재 주출입문 청송 화지재 주출임문 후면 바깥채 창고 및 저장고 청..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31호_청송 송정고택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31호 _ 청송 송정고택 (靑松 松庭古宅) 수량/면적 : 2棟/260.6㎡, 22.8㎡ 지정일 : 2015.05.18 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송소고택길 15-1 (파천면, 송정고택) 송정고택은 1914년에 지어진 송정 심상광(松庭 沈相光)의 살림집이다. 심상광은 조선 후기 만석꾼이었던 송소 심호택松韶 沈琥澤의 차남으로, 안동 도산서원장, 안동 병산서원장, 청송향교 전교 등을 지낸 인물이다. 큰집인 송소고택과는 연접해 있으며 안채, 사랑채, 별채가 각각 독립되어 있으나, 이들을 연결하여 전체적으로는‘口’자 배치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의 바깥쪽에는 큰 대문이 있고, 그 대문을 중심으로 전면에는 넓은 정원이 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채로 들어가는 곳에 다시 작은 대문이 설치되어 있..

국가민속문화재 제250호_청송 송소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제250호 _ 청송 송소 고택 (靑松 松韶 古宅) 수량/면적 : 7필지/6,932㎡ 지정일 : 2007.10.12 소재지 : 경북 청송군 파천면 송소고택길 15-2 (덕천리) 시 대 : 1880년대 조선 영조 때 만석의 부를 누린 심처대의 7대손 송소 심호택이 1880년 파천면 지경리(호박골)에서 조상의 본거지인 덕천리로 이거하면서 건축한 가옥으로 ‘송소세장(松韶世莊)’이란 현판을 달고 9대간 만석부를 지낸 건물이다. 경북 북부 민가양식으로 건물에 독립된 마당이 있으며 사랑공간, 생활공간, 작업공간으로 공간이 구분되어 있는 등 조선시대 상류 주택의 특징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다. 또한, 바깥 마당에 담장으로 구획한 내·외담과 대가족 제도하에서 4대이상의 제사를 모실 수 있는 별묘 등 민속..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66호_월정리 침류정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66호 _ 월정리 침류정 (月亭里 枕流亭) 수 량 : 1동 지정일 : 1992.11.26 소재지 : 경북 청송군 현서면 청송로 538-94 (월정리) 시 대 : 17세기 추정 침류정은 조선 중기 학자인 김성진(1558∼1634)이 후배양성에 전념하기 위해 지은 정자이다. 김성진은 학식이 높고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후학을 위해 문집 목판각을 만들어 책을 인쇄하여 널리 보급하였다. 건물을 세운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임진왜란(1592) 뒤인 1600년대로 추정하고 있다. 계곡을 낀 낮은 언덕 위에 자리잡고 있으며, 주변의 커다란 나무들과 함께 정원 건축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월정리 침류정 표지판 월정리 침류정 월정리 침류정 월정리 침류정 현판 월정리 침류정 월정리 침류..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77호_청송 송만정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77호_청송 송만정(靑松 宋巒亭) 수량/면적 : 1곽 지정(등록)일 : 2010.08.02 소 재 지 : 경상북도 청송군 신한2길 25 (진보면) 이 정자는 임진란 당시1592 곽재우 장군과 함께 의진에 참가하여 화왕산성 전투에서 혁혁한 전공을 세운 안동권씨 태사공 권행權幸의 22세손인 권준權晙 선생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그의 후손들이 1863년에 최초로 건립하였다. 건물의 구조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며, 특징은‘ㄷ’자형 평면이 마주하여 안마당을 이루고 있고, 부재의 쓰임새와 그리고 누마루가 양쪽에 배치되어 있는 등 우리지방에서는 비교적 찾아보기 힘든 특이한 건축양식을 지니고 있다 송만정 표지판 송만정 송만정은 안동 권씨 태사공 권행(權幸)의 22대손인 권준(權晙)의 ..

보물 제2049호_청송 찬경루

보물 제2049호 _청송 찬경루 (靑松 讚慶樓) 수 량 : 1동 지정일 : 2019.12.30 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금월로 269 (청송읍) 시 대 : 조선시대 「청송 찬경루」는 찬경루는 자연 암반을 깎거나 다듬지 않고 피하지도 않으며 암반위에 독특하게 입지하고 있으며, 누각으로서 온돌이 만들어져 있는 것은 다른 누각에서는 볼 수 없는 드문 사례이며, 가구법에서도 내부에 기둥이 있고 내부기둥에서 대들보(대량)와 툇보(퇴량)가 같은 높이에서 걸리는 5량가 라는 것도 다른 건물에서는 볼 수 없는 희소한 사례임. 찬경루는 건축과 관련된 풍부한 창건 및 중건 기록, 관영 누각으로서의 기능에 부합되고 정체성을 잘 표현하고 있는 평면 구성, 조선 후기 양식을 잘 표현하고 있는 가구 양식 등을 고려할 때 역사적..

문화재/보물 2021.10.28

국가등록문화재 제497호_청송 소류정

국가등록문화재 제497호 _ 청송 소류정 (靑松 小流亭) 수량/면적 : 소류정(현황측량면적 43.3㎡), 일각문(현황측량면적 3.2㎡), 담장(현황측량면적 29.9㎡) 지정일 : 2012.08.09 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길안청송로 1472-40 (파천면) ㅇ 소류정은 병신창의(丙申倡義) 당시 청송지역 의병대장으로 추대되어 감은리 전투 등에 참여한 소류 심성지(少流 沈誠之) 선생이 감은리 전투 이후 은거하면서 1904년 별세하기까지 후학을 가르치면서 학문에 매진했던 곳이다. ㅇ 정면2칸, 측면2칸의 팔작지붕으로 툇마루와 사분합문을 설치하는 등 청송지방 정자건축의 특징을 잘 표현하고 있으며, 청송지역 의병활동의 상징적 인물인 심성지선생의 주 은거지로서 항일독립운동사적으로 역사적 가치가 크다. 청송 소류..

경상북도 기념물 제108호_청송 침류정 향나무

경상북도 기념물 제108호 _ 청송 침류정 향나무 (靑松 枕流亭 향나무) 수량/면적 : 1,392㎡1주 지정일 : 1995.06.30 소 재 지 : 경북 청송군 현서면 청송로 538-94 (월정리) 향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을 비롯해 울릉도와 일본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상나무·노송나무로도 불린다. 이 나무는 강한 향기를 지니고 있어 제사 때 향을 피우는 용도로도 쓰이며 정원수·공원수로 많이 심는다. 청송 침류정 향나무는 의성 김씨 김성진이 학문을 연마하고 제자들을 가르치던 침류정 및 오월헌(梧月軒) 앞 뜰에서 자라고 있다. 나이는 35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약 10m, 가슴 높이의 지름은 약 80㎝이다.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김성진의 제자들이 심고서 가꾸었다고 한다. 청송 침류정 향나..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1호_진보 향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1호 _ 진보향교 (眞寶鄕校) 수 량 : 5동 지정일 : 1985.10.15 소재지 : 경북 청송군 진보면 신한2길 63 (광덕리)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진보향교는 조선 태종 4년(1404)에 세우진 후 몇 차례 보수되었다.『청송군지』에 의하면 건물은 출입문인 외삼문, 공부하는 곳인 명륜당과 동·서재, 제사 지내는 곳인 대성전, 책을 보관하는 전사청 등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전사청과 동재가 없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94) 이후 제사만 지내고 있다. 보관하고 있던 전적들 대부분은 불에 타고 남아 있는 책 중 『유안』, 『체임록』, 『향교유림안』..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