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211호 _ 백지묵서묘법연화경 (白紙墨書妙法蓮華經)
수 량 : 7권7첩
지정일 : 1984.05.30
소재지 : 서울 관악구, 호림박물관
시 대 : 고려시대
묘법연화경은 줄여서 ‘법화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우리나라 천태종의 근본경전으로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음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사상의 확립에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삼국시대이래 가장 많이 유통된 불교경전이다.
이 책은 후진의 구마라습이 번역한『법화경』 7권을, 고려 우왕 3년(1377)에 하덕란이 죽은 어머니의 명복과 아버지의 장수를 빌기 위해 정성들여 옮겨 쓴 것이다. 하얀 닥종이에 먹으로 썼으며, 각 권은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접었을 때의 크기는 세로 31.8㎝, 가로 10.9㎝이다.
각 권의 표지에는 금·은색의 화려한 꽃무늬가 장식되였고, 금색으로 제목이 쓰여져 있다. 또한 각 권의 첫머리에는 책의 내용을 요약하여 묘사한 변상도(變相圖)가 금색으로 세밀하게 그려져 있다. 책 끝부분에 있는 일본인이 쓴 기록을 통해, 세종 25년(1443)에 일본으로 유출되었으며, 선조 38년(1605)에는 광대원(廣大院)에 소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책을 쓰게 된 경위를 적은 글과 변상도를 모두 갖추고 있고, 보존상태도 양호할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되찾아온 문화유산이라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국보 제211호 _ 백지묵서묘법연화경 (白紙墨書妙法蓮華經)
국보 제211호 _ 백지묵서묘법연화경 (白紙墨書妙法蓮華經)
국보 제211호 _ 백지묵서묘법연화경 (白紙墨書妙法蓮華經)
* 국보 제211호인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고려 후기인 1377년 제작된 뒤 조선 세종 떄인 1443년 일본으로 건너갔다. 500여 년 만에 호
림 윤장섭 선생(1922~2016)의 노력으로 국내로 돌아온 문화재다
.
글 : 화재청, 호림박물관
'문화재 >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214호_흥왕사명 청동 은입사 향완 (0) | 2018.06.20 |
---|---|
국보 제213호_금동탑(2015.08.30.일요일) (0) | 2018.06.20 |
국보 제205호_충주 고구려비(2014.10.05.일요일) (0) | 2018.06.09 |
국보 제321호_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2015.05.24.일요일) (0) | 2018.05.25 |
국보 제315호_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2018.05.22.화요일,석가탄신일) (0) | 2018.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