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1511호 _ 국조정토록 (國朝征討錄)
수 량 : 2권1책
지정일 : 2007.04.20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대 : 조선시대
이 책은 조선 세종에서 중종조에 이르는 동안 대마도, 파저강, 건주위, 이마차, 서북로구, 삼포왜란 등을 정벌한 역사를 기록한 것이다. 체재를 보면 목록과 범례에 이어 상권에는 대마도 정벌(征對馬島)·파저강 정벌(征婆猪江)·건주위 정벌(征建州衛)이, 하권에는 건주위 정벌(征建州衛)·이마차 정벌(征尼麻車)·서북로구 정벌(征西北虜寇)·삼포반왜 정벌(征三浦叛倭)이 수록되어 있다.
서술의 체재는 각 전쟁별로 연대에 따라 강목체(綱目體)로 기술되어 있는데, 범례에서 말하고 있듯이 조선의 군사행동은 정(征) 또는 토(討)로 칭하고 적병은 구(寇) 또는 반(叛), 적을 격파한 경우는 참(斬) 또는 로(虜)로 표현하는 등 역사적 사실에 포폄(褒貶)을 행한 통감강목의 서례(序例)를 따르고 있다.
'광해군일기'(태백산사고본) 광해군 6년 7월 29일 기묘조(己卯條)에, 당시까지 사본의 형태로 유포되고 있었던 '국조정토록'은 광해군 6년 이후에 활자로 인출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이익의 '성호사설(星湖僿說)' 경사문(經史門)의 기록에서도 활자로 인출된 후에도 구하여 보기 쉽지 않은 책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국조정토록'은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유일본으로 희소가치가 있으며 조선전기 전쟁사나 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보물 제1511호 _ 국조정토록 (國朝征討錄)
이 책은 조선 세종에서 중종조에 이르는 동안 대마도, 파저강, 건주위, 이마차, 서북로구, 삼포왜란 등을 정벌한 역사를 기록한 것이다
보물 제1511호 _ 국조정토록 (國朝征討錄)
한국학중앙연구원, 글 문화재청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745-3호_월인석보 권9,10 (2018.07.25) (0) | 2018.07.25 |
---|---|
보물 제352호_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 (0) | 2018.07.17 |
보물 제1220호_명안공주관련유물(2018.06.27), 인목왕후가 쓴 한시,명안공주 작명단자 (0) | 2018.06.29 |
보물 제1443호_황세자탄강진하도 병풍 (2018.06.27) (0) | 2018.06.29 |
보물 제1904-4호_조선왕조의궤 (2018.06.27.수요일) (0) | 2018.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