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보물

보물 제860호_비격진천뢰

기리여원 2018. 11. 16. 10:41
728x90

보물 제860호 _ 비격진천뢰 (飛擊震天雷)

 

수   량 : 1점

지정일 : 1986.03.14

소재지 : 서울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 

시   대 ; 조선시대

                                                                                                                                                        

 

조선 선조 때 이장손이 발명한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는 인마살상용(人馬殺傷用) 폭탄으로 조선 중기에 사용되었다.

지름 21, 둘레 68로 도화선을 감는 목곡(木谷), 목곡이 들어가는 죽통(竹筒), 얇은 철 조각, 뚜껑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표면은 무쇠로 둥근 박과 같고 내부는 화약과 얇은 철 조각들로 장전하게 되어 있으며, 화포의 일종인 완구(碗口)를 이용하여 발사된다. 임진왜란 때 경주 부윤이었던 박의장이 사용하여 경주성을 탈환하기도 하였다.

이 비격진천뢰는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유물 중 가장 보존 상태가 좋아 문헌과 비교 연구할 수 있는 국방 과학기술 문화재로 평가되며, 화포 연구와 탄환 발전사에 대한 자료로서 높은 가치가 있다

 

보물 제860호 _ 비격진천뢰 (飛擊震天雷)

 

 

 

 

 

 

 

 

보물 제860호 _ 비격진천뢰 (飛擊震天雷)

 

 

2018.11.15일  고창 무장읍성에서 '비격진천뢰' 11점을 발굴했습니다.
기존 유물은 속이 빈 탄피지만 이번엔 화약,철편이 꽉 차있습니다

 

                                                                                                                                                                  2015.07.12, 국립고궁박물관

    글 문화재청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