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보물 제1683-1호 _ 정약용 행초 다산사경첩 (丁若鏞 行草 茶山四景帖)
수 량 : 1첩
지정일 : 2010.10.25
소재지 : 서울특별시 광진구
시 대 : 1809, 1818, 1823년
『정약용 행초 다산사경첩(丁若鏞 行草 茶山四景帖)』은 정약용(1762~1836)이 강진에 유배되었을 때 조영했던 다산초당의 전후좌우에 있는 다조(茶竈)ㆍ약천(藥泉)ㆍ정석(丁石)ㆍ석가산(石假山)의 네 가지 경물을 읊은 칠언율시를 행서로 쓴 것으로 정약용의 어느 필적보다도 그 의미가 깊다. 표지 제첨은 예서로 “다산사경첩(茶山四景帖, 茶山親墨橘頌堂珍藏)”이라 쓰여 있다. 정약용의 글씨는 초년에 전대의 명필 이광사ㆍ강세황의 서풍을 따르다가 강진 유배 이후로는 특유의 서풍을 이루었다. 이 첩은 강진 유배시절 이후의 정약용의 서풍을 볼 수 있다.
정약용 행초 다산사경첩 (丁若鏞 行草 茶山四景帖) 표지판
보물 제1683-1호 _ 정약용 행초 다산사경첩 (丁若鏞 行草 茶山四景帖)
2016.05.08.일요일, 국립민속박물관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284호_금동여래입상 (0) | 2020.09.30 |
---|---|
보물 제1683-2호_정약용 필적 하피첩 (0) | 2020.09.29 |
보물 제470호_구미 도리사 석탑 (0) | 2020.09.19 |
보물 제492호_구미 해평리 석조여래좌상 (0) | 2020.09.19 |
보물 제469호_구미 낙산리 삼층석탑 (0) | 2020.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