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660호 _ 최희량 임란 관련 고문서 (崔希亮 壬亂 關聯 古文書), 임란 첩보서목(壬亂 捷報書目), 복제품
수 량 : 1첩, 12건
지정일 : 1979.07.26
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시 고분로 747 (반남면, 국립나주박물관)
시 대 : 조선 선조 31년(1598)
최희량 임란관련 고문서 - 첩보서목(崔希亮 壬亂關聯 古文書 - 捷報書目)은 선조 31년(1598) 임진왜란 당시 흥양(지금의 전라남도 고흥군)현감으로 있던 일옹 최희량(1560∼1651)이 당시 전라수군절도사 이순신 장군과 전라도 관찰사에게 왜적을 격파한 전과보고 문서이다.
최희량은 무과에 급제하여 임진왜란이 터지자 선전관으로 활약하였고, 정유재란 때는 이순신의 부하로 있으면서 많은 전공을 세워 후에 원종공신에 올랐다.
원래는 따로 흩어져 있던 것을 공의 후손인 최기정이 서목의 뒤에 19절지로 배접하여 첩으로 만들었다. 이 첩책 표지에 최기정이 ‘최일옹파왜보첩원본’이라는 제목을 붙이고, 각 문건마다에 백지 또는 붉은 종이를 표지로 붙여 내용분류를 쉽게 하였다.
이 문건의 내용은 현지에서 작성한 전과보고서로, 그 여백에 상관이 회답을 적어보내는 형태의 당시 공문서 양식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또한, 왜적들과 싸워 크게 승전을 거둔 전말을 담고 있어 다른 기록에는 있지 않은 귀중한 사실이 이 서목을 통해 새로이 밝혀졌다.
이것은 당시 공문서의 양식을 살필 수 있는 매우 희귀한 자료로 평가된다.
최희량 임란 관련 고문서 (崔希亮 壬亂 關聯 古文書) _ 임란 첩보서목(壬亂 捷報書目), 복제품
『임란첩보서목 』 최희량이 쓴 승리의 기록
임진왜란 승전보고서라는 뜻인 『임란첩보서목(壬亂捷報書目) 』은 흥양현(오늘날 고흥군)의 현감 최희량(崔希亮, 1560~1651)이 전라도관찰사 황신(黃愼, 1562~1617)과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李舜臣, 1545~1598)에게 보낸 문서이다. 1598년 당시 흥양지역은 순천왜성에 주둔한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일본군과 격전을 벌이는 전장의 최전선이었다.
이 문서에는 최희량의 조선군의 일본군의 끊임없는 공격에 맞서 싸우면서 거둔 승리의 기록과 함께 총통 · 칼 · 활 같은 무기 등을 만든 내용이 적혀 있다. 최희량과 흥양 사람들은 일본군의 수없는 공격을 막아내며 수군의 전력증강을 위해 전선과 무기의 제작에 힘썼다.
2021.02.28. 국립나주박물관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277호_부안 내소사 동종 (0) | 2021.03.08 |
---|---|
보물 제1309호_영암 엄길리 암각 매향명 (0) | 2021.03.04 |
보물 제304호_보성 벌교 홍교 (0) | 2021.02.19 |
보물 제943호_보성 우천리 삼층석탑 (0) | 2021.02.18 |
보물 제1843호_강진 정수사 석가여래삼불좌상 (0) | 2021.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