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노안도(蘆雁圖)> _ 해강(海岡) 김규진(金圭鎭, 1868~1933), 1904, 종이에 담채
기러기와 갈대
해강(海岡) 김규진(金圭鎭, 1868~1933)의 노안도(蘆雁圖)이 다. 갈대와 기러기를 뜻하는 노안(蘆雁)은 발음과 같은 노안(老安)과 같은 의미로 여겨 노후의 안락함을 기원하기 위해 많이 제작되었다. 김규진 외에도 19세기에 장승업(張承業, 1843~1897), 양기훈(楊基薰, 1843~ ?) 또한 노안도 작품을 남기고 있어 당시에 자주 그려졌던 주제인 것으로 보인다.
김규진은 근대 화가이자 사진가이다. 1885년 중국으로 건너가 10여년 간 그림을 배우고 귀국하였다. 또한 1906년 일본에 건너가 근대 사진 기법을 배우고 돌아와 1907년 천연당사진관(天然堂寫眞館)을 열어 운영하였다.
<노안도(蘆雁圖)>
2023.02.08, 서울대박물관
전시자료
▼보시고 유기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
'문화재 > 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자미상의 <호응박토도> (0) | 2023.02.23 |
---|---|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의 <호취박토도> (2) | 2023.02.19 |
관재(貫齋) 이도영(李道榮)의 <관재필선면산수도> (1) | 2023.02.17 |
송은(松慇) 이병직(李秉直)의 <매화도> (0) | 2023.02.16 |
희원(希園) 이한철(李漢喆)의 <취태백도> (0) | 2023.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