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김득신필산수도(金得臣筆山水圖)> _ 김득신(金得臣, 1754~1822), 18세기 말, 비단에 담채, 서울대박물관
시를 그림으로 풀어내다
각각 중국의 시를 주제로 한 그림이다. 왼쪽 폭에는 도연명(陶淵明, 365~427)이 41살에 관직을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가며 쓴 「귀거래사(歸去來辭) 」의 일부가 쓰여 있다.
뭍에서 머슴들이 도연명을 맞이하고 대문에서 그의 어린아들이 그를 기다리는 모습, 집 안뜰에 작게 표현되어 있는 노란색 국화, 집 뒤로 우뚝 솟은 소나무까지 모두 시를 충실히 묘사하고 있다.
오른쪽 폭은 가도(賈島, 779~843)의 「심은자불우(尋隱者不遇) 」를 풀이한 그림이다. 한 남성이 자신의 옛 벗을 찾아갔지만, 어란 종은 그의 옛 번이 구름으로 뒤덮인 산 속 어딘가에 있을 뿐이라는 모호한 대답만을 한다. 그림 속에서는 어린 종이 손가락으로 구름에 덮인 산을 가리키고 있다.
<김득신필산수도(金得臣筆山水圖)> _ 김득신(金得臣, 1754~1822)
<김득신필산수도(金得臣筆山水圖)>
<김득신필산수도(金得臣筆山水圖)>
2023.02.08, 서울대박물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
'문화재 > 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영국(劉永國)의 <산> (1) | 2023.04.23 |
---|---|
방혜자(方惠子)의 <무제> (2) | 2023.04.22 |
최욱경(崔郁卿)의 <환희> (6) | 2023.04.22 |
천경자(千鏡子)의 <언젠가 그날> (5) | 2023.04.22 |
이성자(李聖子)의 <은하수> (7) | 2023.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