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보물 제1140호 _ 묘법연화경(언해) 권3 (妙法蓮華經(諺解) 卷三)
수 량 : 2책
지정일 : 1992.07.28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묘법연화경은 줄여서 ‘법화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는 것을 중요사상으로 하고있다. 천태종의 근본 경전으로 화엄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이 책은 구마라습이 한문으로 번역하고, 계환(戒環)의 풀이와 일여(一如)의 주석모음이 붙은 법화경을, 세조 9년(1463)에 본문과 계환의 풀이부분만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세조 7년(1461) 불경을 한글로 풀이하여 간행하기 위해 설치한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목판에 새겨 닥종이에 찍어낸 것으로, 상(82장)·하(82-202장) 2책으로 되어있다. 책의 형태는 글씨가 밖으로 나오도록 반으로 접어 겹겹이 포갠 후 몸통을 꿰매고 표지로 감싼 포배장이다.
비록 1권 뿐이나 상·하권 첫머리에 교정을 했음을 알려주는 도장이 찍혀 있는 초판 인쇄본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묘법연화경(언해) 권3 (妙法蓮華經(諺解) 卷三)
2025.06.21, 국립중앙박물관_새나라 새미술:조선 전기 미술 대전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914호_천지명양수륙잡문 목판 (4) | 2025.07.13 |
---|---|
보물 제934호_목우자수심결 및 사법어(언해) (2) | 2025.07.12 |
보물 제1594-3호_청구도 (4) | 2025.07.07 |
보물 제1392호_화조구자도 (4) | 2025.07.05 |
보물 제419-4호_삼국유사 권3~5 (3)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