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경상북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0호_안동 체화정 (2014.09.10.수요일)

기리여원 2014. 9. 29. 13:50
728x90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0호 _  체화정(체華亭)

 

 

조선 영조 37년(1761)에 진사 만포 이민적이 세운 정자로 학문을 닦던 곳이다. 그 후 순조(재위 1800∼1834) 때 국가에서 충신, 효자, 열녀를 기리기 위해 마을에 정문을 세우는 정려를 받은 이한오 선생이 늙은 어머니를 모시고 효도하던 곳이기도 하다.

이곳은 이민적 선생이 그의 형인 옥봉 이민정 선생과 함께 살면서 우애를 다지던 장소로 유명한데, 이로 보아 정자 앞 연못의 이름을 ‘체화지’라 지은 것으로 보인다. ‘체화’란 형제간의 화목과 우애를 상징하는 것으로『시경』에서 그 의미를 따왔다. 연못에는 삼신산을 상징하는 세 개의 인공섬인 방장, 봉래, 영주가 있다.

건물구조는 앞면 3칸·옆면 3칸의 2층 건물로 지붕 옆모습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되어있다. 1층은 지면과 떨어져 있으며 온돌방 1칸을 만들었다. 현판 ‘담락제’의 글씨는 조선 제일의 화가였던 단원 김홍도가 썼다.

                                                                                                                                                             출처 문화재청

 

 

 

 

체화정 옆에 있는 파란색 기와지붕의 집이 조용하고 단란해 보여 사진을 담아 보다.

 

 

 

 

 

 

 

 

                                                                        체화지    

                                                                                                          

 체화란 형제간에 화목과 우애를  상징하는 뜩으로 "시경"에서 의미를 따왔다.  

 

 

 

 

 

 

 

 

 

 

                                           조선 제일의 화가였던 단원 김홍도가 쓴 "담락제" 현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0호 _ 체화정(체華亭)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0호 _ 체화정(체華亭)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0호 _ 체화정(체華亭)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0호 _ 체화정(체華亭)

 

 

 채화정에서 마음 편하고 여유롭게 쉬어 가다.

 

다음에는 8월초순 백일홍이 만발한 한 여름이나 눈이 내린는 날 다시 찾아 오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