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묵죽도(墨竹圖) _ 김양기(金良驥, 생몰년 미상), 조선 19세기, 32.0×22.5cm, 종이에 먹
竹吾甚愛之(죽오심애지)
莫遺牛礪角(막유우려각)
牛礪尙可(우려상가)
牛鬪殘我竹(우투잔아죽) 肯園(긍원)
대나무는 내가 매우 사랑한다.
대로 하여금 대나무에 뿔을 길게 하지 마라
뿔을 가는 것은 그래도 괜찮지만
소가 싸워서 내 대나무를 해칠라 긍원
김양기는 자가 천리(千里), 호가 긍원(肯園) · 낭곡(浪谷) 등이다. 김홍도의 아들인데, 구체적인 행적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우봉 조희룡과 같은 나이로 지기(知己)였다고 한다. 산수 · 화조 ·풍속화 등을 잘 그렸다. 그의 작품에는 속기(俗氣)가 없고, 중국의 작품을 모방한 경우에도 자기의 화흥(畵興)을 돋우어 자유롭게 가감함으로써 새로운 맛을 보탰다고 한다. 이 작품도 조그만 소품이지만, 그의 화흥이 엿보인다고 한다.
묵죽도(墨竹圖) _ 김양기(金良驥, 생몰년 미상), 조선 19세기, 32.0×22.5cm, 종이에 먹
묵죽도(墨竹圖) _ 김양기(金良驥, 생몰년 미상), 조선 19세기, 32.0×22.5cm, 종이에 먹
묵죽도(墨竹圖) _ 김양기(金良驥, 생몰년 미상), 조선 19세기, 32.0×22.5cm, 종이에 먹
글 서강대학교 박물관 전시자료, 손세기선생 기증 특별전
728x90
'문화재 > 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봉(石峯 ) 한호(韓濩) 초서난정첩(草書蘭亭帖) (2018.11.29) (0) | 2018.12.01 |
---|---|
길재(吉再) 야은초서유묵(冶隱草書遺墨) (2018.11.29) (0) | 2018.12.01 |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 선면산수도(扇面山水圖) (2018.11.29) (0) | 2018.12.01 |
변상벽(卞相璧)의 <자웅장추(雌雄將雛)> (0) | 2018.09.07 |
겸제 정선 화훼영모화(사과투서, 과전전계, 홍려추선,추일한묘) (0) | 2018.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