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문화재/경기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3호_화성 용주사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일괄

기리여원 2020. 10. 30. 17:22
728x90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3호 _ 화성 용주사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일괄 (華城 龍珠寺 地藏殿木造地藏菩薩坐像과 十王像一括)

 

수 량 : 1점

지정일 : 2009.05.21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송산동 188

 

지장전에 봉안된 이 목조각상 일괄은 원래 1894년 萬儀寺 지장전이 낡고 무너져서 이 곳용주사로 移安해 온 상들로서 이 중 목동자상 10구는 현재 용주사 효행박물관 전시실과 수장고에 나뉘어 소장되어 있다. 조선후기 목조각상의 아름다움을 잘 드러낸 작품들로서 명부세계의 존상 일괄을 잘 보존하고 있는 상들로서 의의가 있다. 총 31구는 지장삼존상3구, 시왕상10구, 귀왕상2구, 판관상2구, 사자상2구, 녹사상2구, 동자상10구이며 동자상을 제외한 나머지 21상은 지장전에 동자상은 용주사효행박물관에 있다

 

거북을 들고 있는 목동자상

 

용주사 동자상은 용주사 지장전의 지장보살, 시왕상과 함께 조성된 상이다.

조선 후기의 동자상은 대개 목이 짧고 둥근 얼굴에 쌍계머리 혹은 민머리를 하고 있다. 용주사 목동자상은 각각, 학, 사자, 거북 등 다양한 자물을 들고 있다. 학은 영혼을 극락세계로 인도하는 역할을 상징하고 사자는 벽사를 상징하며 거북은 극락세계가 바다에도 있음을 상징한다.

 

사자를 들고 있는 목동자상

 

 

학을 들고 있는 목동자상 

 

불교중앙박물관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