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2206호 _ 상주 대산루 (尙州 對山樓)
수 량 : 1동
지정일 : 2022.12.28
소재지 : 경상북도 상주시 채릉산로 799-46 (외서면)
시 대 : 조선시대
「상주 대산루」는 우복 정경세(愚伏 鄭經世, 1563~1633)가 낙향한 후 우산리에 들어와 은거하고 학문을 닦는 장소로 1602년에 처음 짓고 1778년에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다듬어진 누정 겸 서실(書室)이다. 종갓집의 학문과 교류의 거점 역할을 하였으며, 조선시대 지방 선비의 학문적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역사적 자료이다.
* 17세기 영남학파의 전통을 잇는 학자로서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어 김장생(金長生)과 함께 예학의 대가로 불렸으며, 류성룡(柳成龍)의 3자인 류진(柳袗)을 비롯하여 모두 107명의 제자를 배출함
상주 대산루는 5량가 중층 누각의 팔작지붕 건물로 배산임수 배치를 두고 있다. 전체적인 평면구성은 ‘丁’자형으로 남쪽의 ㅣ자형 건물은 단층의 정사(亭舍, 정자 형태의 집)로 강학공간, 북쪽의 ㅡ자형 건물은 누각으로 휴양, 접객, 독서를 위한 다목적 공간으로 삼았다. 정사는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로 대청 2칸, 온돌방 2칸으로 구성하였으며, 누각은 정면 2칸, 측면 5칸 규모로 1칸 규모의 온돌방을 중심으로 앞쪽은 누마루, 뒤쪽은 서고로 구성하였다.
정사와 누각 두 개의 건물을 ‘丁’자형으로 연결하는 방식과 두 공간을 이어주는 자연석 계단과 담장, 누각 2층에 구성된 온돌, 기둥 밖으로 돌출시켜 도리를 거는 출목도리 형식의 가구구성에 나타난 독특한 건축기법 등은 대산루의 건축적 가치를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인근에 위치한 우복 종가 등 관련 건물과 함께 주변 경관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이곳에서 향촌의 변화를 읽을 수 있는 다양한 문집과 문서 등이 생산된 점 등을 고려할 때,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높아 국가지정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
상주 대산루 표지판
계정(溪亭) 전경
계정은 우복이 벼슬에서 물러나 귀향한 1603년에 지은 2칸짜리 초당으로 한 칸은 마루이고, 한 칸은 온돌방이다.
우복은 별장과 서실로 쓴 계정을 ‘산골 물소리를 듣는 정자’, 청간정(聽澗亭)이라고 불렀다.
계정(溪亭) 현판
우복이 지은 <우곡잡영(愚谷雜詠)> 20수 중 ‘계정(溪亭)’을 읊은 시
깊은 골짜기 바람과 물 속에 홀로 살아가니 (萬壑風泉獨掩扃)
긴긴 해에 계정에는 찾아오는 사람 없다네 (日長無客到溪亭)
저녘 무렵에 뜻 나른해 책을 놓고 나가보니 (晩來意倦抛書出)
눈 안 가득 신록이라 뜰 안 온통 푸르다네 (潑眼新陰綠滿庭)
계정(溪亭) 전경
계정(溪亭)
상주 대산루 (尙州 對山樓) 전경
상주 대산루
상주 대산루
상주 대산루
대산루는 조선시대 이조판서 , 홍문 · 예문관 대제학(정2품)을 지낸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1563~1633)의 독서강학처로 6대손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 1738~1816)가 전보다 크게 충창한 가옥이다.
단층의 정사(亭舍)
전체적인 평면구성은 ‘丁’자형으로 남쪽의 ㅣ자형 건물은 단층의 정사(亭舍, 정자 형태의 집)로 강학공간이다.
정사의 건물규모는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로 대청 2칸, 온돌방 2칸으로 구성하였다.
단층의 정사 2칸의 대청마루
누각
북쪽의 ㅡ자형 건물은 누각으로 휴양, 접객, 독서를 위한 다목적 공간으로 사용하였다.
누각은 정면 2칸, 측면 5칸 규모로 1칸 규모의 온돌방을 중심으로 앞쪽은 누마루, 뒤쪽은 서고로 구성하였다.
누각
누각 2층 누마루
대산루(對山樓) 현판
누각의 서고 동측 툇마루
누각 북측 통로및 난간
누각 동측면
정사의 후면
대산루 후면 전경
2022.01.23,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 상주 대산루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008호_함양박씨 정량공파 문중 전적 (2) | 2023.01.29 |
---|---|
보물 제1917호_예천 야옹정 (6) | 2023.01.29 |
보물 제2096호_상주 향교 대성전 · 동무 · 서무 (7) | 2023.01.27 |
보물 제1958호_예천 보문사 삼장보살도 (2) | 2023.01.27 |
보물 제487호_정탁 초상 (0) | 2023.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