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1917호 _ 예천 야옹정 (醴泉 野翁亭)
수량/면적 : 1동 / 57.76㎡
지정일 : 2016.09.09
소재지 : 경상북도 예천군 맛질길 55 (용문면)
시 대 : 조선시대
야옹정은 임진왜란 전인 1566년에 1566년(명종21)에 권심언(權審言)이 선고(先考)인 야옹(野翁) 권의(權檥:1475-1558)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정자로 초창 때의 모습이 거의 고스란히 보존되어 있고 초창 때의 막새기와와 단청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임진왜란 이전 건축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이다.
평면은 전체적으로 정면 4칸 측면 4칸 규모의 丁자형의 평면으로, 좌측 3칸을 대청으로 꾸미고 우측에는 온돌방을 연접시켰는데, 우측칸의 전면에는 누마루 1칸을, 배면에는 온돌방 1칸을 각각 돌출시켰다. 주위에는 방형의 토석담장을 둘렀으며 전면 담장 좌측에는 사주문을 세워 정자로 출입케 하였다. 정자의 전면과 배면에는 반 칸 규모의 퇴칸을 두었는데, 전면 퇴칸의 하부에는 누하주 6본을 세워 전면의 퇴칸은 누마루를 이루게하였다. 배면의 퇴칸은 중수시인 숭정년간(崇禎年間)에 설치된 것이기는 하나 기존 건물과 어색하지 않게 설치하여 이 건물의 또 다른 특징으로 볼 수 있다.
기둥 상부의 포작은 일출목한 주심포계열로 조선 초기 모습을 하고 있으며, 우주 상부의 귀포는 귀한대를 구성하여 추녀를 받도록 하였고, 포간에는 깊게 초각한 화반을 놓아 처마 밑을 짜임새 있게 장식했다. 3포 초익공의 공포는 주심포 형식과도 유사하며 익공의 형식이 조선전기의 짧고 강직한 양식적 특징을 보여준다. 출목을 보통 건물보다 많이 낸 것도 조선 전기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출목 첨차를 장혀와 한 몸으로 만든 것은 고식이면서도 다른 건물에서 볼 수 없는 야옹정의 특징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평고대와 착고막이를 하나의 부재로 만든 구로대의 사용은 봉정사 극락전 등에서 볼 수 있는 고식기법으로 야옹정의 가치를 더해주는 상세라고 할 수 있으며 부연의 배걷이가 현격하고 말구 치의 경사가 센 것도 시대와 지역적 특색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야옹정에는 단청의 흔적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는데, 누정건축에서 단청을 한 것은 보기 드문 예이다.
대청 배면과 좌우측, 우측칸 전면의 창호는 가운데 설주가 세워진 고식의 영쌍창으로, 정자의 건립 연대를 가늠케 해주고 있다.
야옹정은 몇 안 되는 임진왜란 이전 건물이라는 것 하나로도 희소성의 가치가 있으며 이를 증거할 수 있는 건축 양식과 기법, 막새, 단청 등이 잘 남아 있어서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해도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예천 야옹정 표지판
예천 야옹정 전경
예천 야옹정
예천 야옹정 사주문(四柱門)
예천 야옹정
야옹정은 조선 중종(中宗) 때 학자로 의흥현감(義興縣監)을 역임한 야옹 권의(權檥, 1475~1558)의 학덕(學德)을 받들기 위해 그의 아들 권심언(權審言)이 명종(明宗) 21년(1566)에 세운 정자이다.
예천 야옹정 우측면
평면은 전체적으로 정면 4칸 측면 4칸 규모의 丁자형의 평면으로, 좌측 3칸을 대청으로 꾸미고 우측에는 온돌방을 연접시켰는데, 우측칸의 전면에는 누마루 1칸을, 배면에는 온돌방 1칸을 각각 돌출시켰다
예천 야옹정 대청
전면 좌측 3칸을 대청으로 꾸미고 우측에는 온돌방을 연접시켰다.
대청 앞면으로 폭이 넓은 툇마루를 설치하고 난간을 돌려 건물 전면을 누각식(樓閣式)으로 꾸몄다.
대청 공포
대청 앞 기둥 위 공포의 장식 수법은 조선 초기에 볼 수 있는 것이고, 대들보 위의 주조재인 화반이나 대공도 고식으로 꾸며져 있다.
대들보 위의 주조재인 화반
예천 야옹정 우측 누마루
우측칸의 전면에는 누마루 1칸을, 배면에는 온돌방 1칸을 각각 돌출시켰다
예천 야옹정 누마루
예천 야옹정 동측면
동측면에는 4칸으로 앞쪽 1칸은 누마루, 후면 3칸은 온돌방을 설치하였다.
야홍정 대청
야옹정( 野翁亭) 현판
누마루측 온돌방
예천 야옹정 후면에 방을 돌출시켰고 대청 후면에는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예천 야옹정 좌측면
2023.01.24, 예천군 용운면 제곡리, 야옹정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768호_백자청화 흥녕부대부인 지석 및 석함 (1) | 2023.02.06 |
---|---|
보물 제1008호_함양박씨 정량공파 문중 전적 (2) | 2023.01.29 |
우복 정경세의 독서강학처인 상주 대산루와 계정 (4) | 2023.01.28 |
보물 제2096호_상주 향교 대성전 · 동무 · 서무 (7) | 2023.01.27 |
보물 제1958호_예천 보문사 삼장보살도 (2)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