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1768호 _ 보물 제1768호 _ 백자 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 (白磁 靑畵 興寧府大夫人 墓誌 및 石函)
수 량 : 7점
지정일 : 2012.06.29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0 (안암동5가, 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인문사회계)) 고려대학교박물관
시 대 : 세조 2
‘백자 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은 경기도 파주시 교하면 당하리 일대의 파평윤씨 정정공파(貞靖公派) 묘역에서 출토된 것으로, 백자 지석 6장이 석함에 담긴 채로, 2001년 5월 18일에 묘역을 사초하던 중 윤번(尹., 1384~1448)의 부인인 인천 이씨(仁川李氏, 1383~1456)의 묘 앞(호석과 상석 사이)에서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 석함은 동제(銅製) 끈으로 묶여 있었으며, 석함을 열자 물기가 촉촉이 젖은 상태로 지석이 들어있었다고 한다. 석함은 장방형으로 통석의 내면을 고운 정 다듬으로 치석했는데, 백자 지석의 크기를 고려하여 딱 맞게 제작되었다.
백자 지석 6장 중, 맨 앞과 뒷장의 지석은 순백자로 나머지 4장의 지석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여겨지며, 그 사이의 4장의 지석에는 앞면에는 청화(靑畵)로 지문(誌文)을 적고 있다. 이 4장의 지석 뒷면에는 순서를 1장(一張)~4장(四張)이라고 청화로 적어두었다.
묘지의 주인공인 인천 이씨는, 세조의 장모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 1418~1483년)의 어머니인 흥녕부대부인(興寧府大夫人)이며, 묘지에는 경태(景泰) 7년 병자년(丙子年)인 1456년 7월 14일에 대부인이 졸하여 10월 8일에 예를 갖춰 매장하였다는 장례 경위와 생전의 덕행, 가계 및 후손들의 현황 등을 기록하였다.
경태 7년(景泰七年)은 1456년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기년명 청화백자의 제작시기 중 가장 이른 시기로, 청화백자의 개시 시기와 청화백자 편년에 획기적인 자료이다.
백자 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는 후대에 제작된 백자지석들에 비해 크기가 크고, 뉘어서 번조하던 양식과는 다르게 세워서 번조한 것으로 여겨져, 제작 기술면에서도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백자 개합에 담아 매장하던 후대의 백자 지석과 다르게 석함에 담아 매납하여, 백자 지석의 초기 제작 양상과 매납법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백자 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 표지판 _ 1456년(세조), 파평윤씨 교하종중 소장, 고려대학교박물관 관리
백자 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
흥녕부대부인은 조선 왕조 제7대 세조의 장모인 인천이씨(1383~1456)을 가리킨다. 그는 세조의 장인인 파평부원군 윤번(尹璠, 1384~1448년)의 부인이다.
지석은 경기도 파주시에서 석제함에 담긴 상태로 발견되었다. 모두 6장이며, 맨 앞과 뒷장은 순백자로서 글씨가 없고 중간의 4장에만 균일한 발색의 청화 글씨가 있다. 맨 마지막에 '경태(景泰) 7년 병자동10월'이라고 하여 1456년에 제작했음을 밝혔다.
이 지석은 광주 관요(官窯)가 설치되기(1467년) 전에 이미 청화백자를 생산했다는 기록을 뒷받침하는 증거이자, 수입 청화 안료를 사용해서 만든 최고의 수작이다
백자 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
백자 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
백자 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
백자 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
백자 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
백자 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
백자 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
백자 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
백자 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
* 석함사진은 문화재청자료입니다.
2023.02.05, 경기도박물관_경기사대부의 삶과 격, 지석(誌石)
글 문화재청,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095호_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복장전적 일괄 (2) | 2023.03.03 |
---|---|
보물 제771호_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언해) (2) | 2023.02.08 |
보물 제1008호_함양박씨 정량공파 문중 전적 (2) | 2023.01.29 |
보물 제1917호_예천 야옹정 (6) | 2023.01.29 |
우복 정경세의 독서강학처인 상주 대산루와 계정 (4) | 2023.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