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강남춘의도(江南春意圖)> _ 그림 심사정(沈師正, 1707~1769), 글 강세황(姜世晃, 1713~1791), 조선 18세기, 비단에 엷은 색(絹本淡彩)
강남의 봄 정취
중국 양쯔강 남쪽 지역 강남의 봄 정취를 그린 <강남춘의도>이다. 새 잎이 돋은 버드나무 아래 초가 전자가 있고, 그 뒤로 물길이 이어진다. 저 멀리 안개 싸인 산과 마을이 흐릿하게 보인다. 군데군데 나뭇가지에 붉은 색을 엷게 칠해 봄꽃이 핀 모습을 나타냈다. 중국과 조선의 문인들은 이처럼 산세가 부드럽고 물이 많은 강남 경치를 선호했다. 특히 만물이 소생하는 봄 경치를 가장 애호하여 이 정취를 표현한 시와 그림이 많이 전해진다. 조선에서는 18세기부터 <강남춘의도>가 본격적으로 제작되었다. 이 작품은 심사정이 그리고, 심사정과 교유를 했던 강세황이 그림 왼쪽에 글을 남겼다,
<강남춘의도(江南春意圖)> _ 그림 심사정(沈師正, 1707~1769), 글 강세황(姜世晃, 1713~1791)
2023.02.19, 국립중앙박물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
'문화재 > 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자미상의 <월하백토도(月下白兎圖)> (2) | 2023.02.25 |
---|---|
칠칠(七七) 최북(崔北)의 <호응박토도> (2) | 2023.02.25 |
청당(靑堂) 김명제(金明濟)의 <목단> (1) | 2023.02.23 |
작자미상의 <호응박토도> (0) | 2023.02.23 |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의 <호취박토도> (2) | 2023.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