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비지정문화재

<청자 복숭아모양 연적과 청자 오리모양 연적>

기리여원 2025. 3. 27. 08:35
728x90

<청자 복숭아모양 연적과 청자 오리모양 연적(靑磁桃形硯滴 · 靑磁鴨形 硯滴)> _ 고려 12세기, 호림박물관

 

고려 문인들은 연적(硯滴), 벼루(硯), 필가(筆架)와 같은 문방구를 자신의 벗으로 여기거나 애정을 담았습니다. 고려 상형청자에는 문방구류가 많고 그중 연적이 가장 많습니다. 고려시대 문인의 글에는 정원을 꾸미고 물새를 키우거나 여러 가지 식물을 가꾸는 모습이 자주 등장합니다. 이를 반영하듯 상형청자 연적은 대부분 물새나 식물을 소재로 했습니다.

<청자 복숭아모양 연적과 청자 오리모양 연적(靑磁桃形硯滴 · 靑磁鴨形 硯滴)>

 

2024.12.13, 국립중앙박물관_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