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502호 _ 장말손 초상 (張末孫 肖像)
수 량 : 1폭
지정일 : 1969.02.19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시 대 : 조선시대(15세기)
<장말손초상(張末孫肖像)>은 조선시대 문신인 장말손을 그린 초상화로, 크기는 가로 107㎝, 세로 171㎝이다. 장말손(1431∼1486)은 세조∼성종 때의 문신으로, 이시애의 난(1467)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이 되었는데 이 그림은 그 후에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그림은 3폭으로 연결되었는데, 얼굴부위가 들어있는 가운데 폭과 양어깨를 표현한 2개의 폭이 이어져 있다. 의자에 앉은 전신상으로, 얼굴을 살색으로 칠한 후 갈색으로 윤곽을 잡았으나 선의 짙음과 흐림이 없는 옛 기법을 사용하였다. 입술은 붉은 기가 돌고 눈매의 표정이 살아있으며, 전체적으로 가라앉은 느낌을 준다.
목 위로 바짝 올라간 관복, 팔뚝 아래에 있는 의자의 손잡이, 가지런한 두 발, 각진 옷의 윤곽선, 금실로 공작을 수 놓은 흉배에서는 조선 전기의 화풍을 엿볼 수 있다. 또한 머리에 쓴 사모의 꼬리가 잠자리 날개 모양에 수평으로 퍼져 있고, 오른쪽을 바라보고 있는 자세, 몸의 풍채가 과장되지 않고 옷자락이 벌려져 있는 점은 조선 중기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이 초상화는 흉배의 공작모양에서 장말손이 연복군으로 봉해진 성종 13년(1482) 이후에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이 그림은 조선 전기의 초상화가 몇점 전하지 않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초상화 연구에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공신도라 할 수 있다
장말손 초상 (張末孫 肖像) 표지판 _ 작가 모름, 조선 1476년경, 비단에 먹과 색, 안동 장씨 연복군 종택
2025.06.21, 국립중앙박물관_새나라 새미술:조선 전기 미술 대전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625-1호_황기로 초서 - 이군옥시 (1) | 2025.06.24 |
---|---|
보물 제1221호_김진 초상 (2) | 2025.06.23 |
보물 제872호_이현보 초상 (4) | 2025.06.22 |
보물 제2162호_ 서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 (2) | 2025.06.21 |
보물 제654호_자수가사 (4) | 2025.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