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1221호 _ 김진 초상 (金璡 肖像)
수 량 : 1폭
지정일 : 1995.07.19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퇴계로 1997 (도산면, 한국국학진흥원)
시 대 : 조선 선조 5년(1572)
청계 김진(1500∼)의 초상화로 크기는 가로 109㎝, 세로 142㎝이다. 김진은 조선의 학자로 중종 20년(1525)에 과거에 합격하여 이조판서까지 오른 인물이다.
모시바탕에 채색하여 그린 이 초상화는 오른쪽을 바라보며 앉아 있는 모습으로 두 손은 소매 안에서 마주잡고 있다. 머리에는 높고 테가 넓은 전립을 썼으며 녹색의 옷을 입고 있다. 얼굴은 몇 개의 선으로만 처리했고 눈매는 매우 가늘다. 명상에 잠긴 듯한 얼굴과 전체적인 분위기가 학자로서의 면모를 암시하고 있다. 깔고 앉은 호랑이 가죽의 방석은 부피감이 없고 매우 평면적이지만 그림이 어색하지 않다. 묵선만 사용한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갈색선, 붉은 선 등을 사용한 점이 특징이다.
선조 5년(1572)에 그려진 이 초상화는 인물을 정확하게 묘사했으며 선생의 성격이나 기품이 잘 나타나 있다. 이현보 선생의 초상화와 함께 안동지역의 사대부상을 대표하는 귀중한 작품이다.
김진 초상 (金璡 肖像) 표지판 _ 작가 모름, 조선 1572년경, 비단에 먹과 색, 의성 김씨 천전파 대종택(한국국학진흥원 기탁)
16세기 평상복을 입은 선비의 초상
김진(金璡 , 1500~1580)의 73세 초상입니다. 바닥에는 표범 가죽 방석을 깔았는데, 원근감 없이 네모난 모양으로 단순하게 표현되었습니다. 옷은 평면적으로 그려졌지만, 얼굴에는 붓으로 연하게 음영을 넣어 불과 입, 코 주변의 주름을 살려 입체감이 느껴집니다. 김진은 이 초상을 자신의 별장 정자에 걸어두고 자연 속에서의 여유로운 삶을 오래도록 즐기고 싶다는 바람을 읊기도 했습니다, 16세기 후반 평상복을 입은 선비의 모습을 담은 귀한 초상화입니다.
2025.06.21, 국립중앙박물관_새나라 새미술:조선 전기 미술 대전
글 문화재청,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625-2호_황기로 초서 - 차운시 (3) | 2025.06.24 |
---|---|
보물 제1625-1호_황기로 초서 - 이군옥시 (1) | 2025.06.24 |
보물 제502호_장말손 초상 (2) | 2025.06.23 |
보물 제872호_이현보 초상 (4) | 2025.06.22 |
보물 제2162호_ 서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 (2) | 2025.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