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유형문화재 1045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2호_마곡사 동종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2호 _ 마곡사동종 (麻谷寺銅鐘) 지정일 : 1976.01.08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운암리) 시 대 : 조선시대 조선시대 만들어진 전체 높이 107㎝, 몸체 높이 80㎝의 동종이다. 동종은 2마리의 용에 의해 매달려 있고, 몸통 어깨의 4곳에 정사각형의 유곽을 배치하였다. 유곽 안에는 돌출된 9개의 유두가 있고, 유곽의 사이에는 위·아래 각각 원형 머리광배을 가진 보살상을 새겼다. 몸통의 윗부분에 2줄의 직사각형 띠를 만들어 그 안에 원을 그리고, 범자를 도드라지게 새겼다. 아랫부분에는 연꽃과 보상화를 교차시킨 덩굴무늬 띠를 만들어, 종 표면의 문양에 통일감과 안정감을 주고 있다. 이 동종은 마곡사 오층석탑 동쪽 심검당의 툇마루에 자리하고 있다. 종 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8호_공주 갑사 대적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2017.11.05.일요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8호_공주 갑사 대적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수 량 : 3구 지정일 : 2013.12.20 대적전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본존인 아미타불과 관음보살. 대세지보살상으로 구성된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아미타삼존상이다.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8호_공주 갑사 대적전 목조아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5호_갑사 대웅전소조삼세불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5호 _ 갑사대웅전소조삼세불 (甲寺塑造三世佛) 수 량 : 7구 지정일 : 2001.12.27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3 (중장리) 갑사 대웅전에 모셔진 삼세불로 중앙의 석가모니불은 높이 255㎝로 둥근 얼굴에 백호가 조각되어 있고 목에는 삼도가 있으며 법의는 통견으로 소조좌불이다. 우측에는 아미타불(높이 235㎝), 좌측에는 약사여래(높이 235㎝), 그리고 문수보살, 보현보살,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등 4대 협시보살이 봉안되어 있다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5호 _ 갑사대웅전소조삼세불 (甲寺塑造三世佛) 2017.11.05. 공주 갑사 대웅전 출처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6호_갑사 대적전 (2017.11.05.일요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6호 ) _ 갑사대적전 (甲寺大寂殿) 지정일 : 1984.01.11 시 대 : 조선시대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갑사는 계룡산 아래에 있는 절로 백제 구이신왕 1년(420)에 아도화상이 세웠다는 설과 556년에 혜명이 지었다는 설이 전해지고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679년에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0호_갑사 석조약사여래입상 (2017.11.05.일요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0호 _ 갑사석조약사여래입상 (甲寺石造藥師如來立像) 지정일 : 1976.01.08 시 대 : 시대미상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3 (중장리) 갑사 동쪽 계곡 약 100m 지점의 자연 동굴안에 있는데, 원래는 갑사 뒷산의 사자암에 있었던 것이라고 한다. 머리에는 상투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0호_부석사삼층석탑 (2017.10.29.일요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0호 _ 부석사삼층석탑 (浮石寺三層石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0호 _ 부석사삼층석탑 (浮石寺三層石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0호 _ 부석사삼층석탑 (浮石寺三層石塔) 지정일 : 1979.01.25 소재지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 (북지리) 부석사에서 약 200m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