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8686

사적 제484호_거제현 관아

사적 제484호 _ 거제현 관아 (巨濟縣 官衙) 수 량 : 7,941㎡지정일 : 2007.07.31소재지 : 경남 거제시 거제면 동상리 546등 일원시 대 : 조선시대 거제현의 관아는 배산구조와 안산, 관아 배치와 진입로 구조가 시각적으로 뚜렷한 축을 형성하여 한양의 광화문-경복궁-백악산의 축과 매우 흡사한 시각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는 곳이다.현존하는 관아 건물인 기성관은 거제현의 객사로 중심적 역할을 하던 곳으로 단청이 화려하고 웅대한 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비록 동헌 건물이 헐리고 그 자리에 면사무소가 들어서 있지만 부속 건물이었던 질청이 남아있고 당시 고지도 등의 관련 자료가 많아 당시 읍치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는 유적중의 하나이다.따라서 거제 읍치의 관아와 거리는 조선후기 읍치의 ..

문화재/사적 2025.04.29

<오십삼불회도 회향발원문>

_ 조선 1725년, 종이, 순천 송광사 불조전, 송광사성보박물관 1725년에 송광사 를 조성하며 발원한 글입니다. 글에서 의겸 스님은 화사의 또 다른 표현인 금어 중 첫 번쨰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불사에 참여한 스님 및 시주자들과 불사의 목적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기록입니다. 2025.04.19, 불교중앙박물관_호선 의겸:붓끝에 나투신 부처님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침굉집(枕肱集)>

_ 조선 1695, 종이에 인쇄,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현변 스님이 쓴 글을 제자들이 엮어 만든 문집입니다. 현빈 스님은 소임별 스님들의 공덕을 찬탄하였습니다. 특히 화원을 맡은 스님의 솜씨는 고대 중국의 유명 화가와 비견하고, 도량 안팎을 장엄하여 영축산과 기원정사를 방불케 한다고 칭송하였습니다. 조선시대 불사(佛事)의 운영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04.19, 불교중앙박물관_호선 의겸:붓끝에 나투신 부처님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고문서 2025.04.28

국가등록문화재 제356호_거제초등학교 본관

국가등록문화재 제356호 _ 거제초등학교 본관 (巨濟初等學校 本館) 분 류 : 등록문화유산 / 기타 / 교육시설수량/면적 : 1동 2층, 건축면적 886.81㎡, 연면적 1,764.72㎡지정(등록)일 : 2007.09.21소 재 지 : 경남 거제시 거제면 동상리 415번지시 대 : 1956년소유자(소유단체) : 경상남도 교육청 관리자(관리단체) : 경상남도 교육청 이 건물은 거제시에서 가장 오래된 교육 기관인 거제초등학교 본관이다. 정면은 대칭형으로, 박공형으로 장식한 현관을 중심으로 교실을 배치하였다. 외관은 당시 인근에서 풍부하게 생산되던 화강석을 직사각형으로 다듬어 쌓는 등 근대기 학교 건물의 전형적인 형식을 취하였다. 석재 채석과 가공, 적벽돌 생산과 운반 등에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등 교사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64호_거제현 관아 송덕비군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64호 _ 거제현 관아 송덕비군 (巨濟縣 官衙 頌德碑群) 수 량 : 철비 6기, 석비 8기지정일 : 2019.12.26소재지 : 경상남도 거제시 읍내로2길 22 (거제면, 거제기성관)시 대 : 조선시대 거제현 관아 송덕비군은 철비가 6기, 석비가 8기 총14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립연대는 17세기에서 18세기가 대부분이다. 거제지역에 산재한 비를 한 곳에 모아 비군을 만들어 관리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며, 특히 17~18세기에 많이 세워졌다고 하나 석비에 비해 소수가 전해지고 있는 철비가 6기나 존재하는 것도 그 의미가 큼.거제현 관아 송덕비군 표지판 거제현 관아 송덕비군 (巨濟縣 官衙 頌德碑群) 현령최공운서청정애민비(縣令崔公雲瑞淸政愛民碑) _ 높이 86, 너비 47.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