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750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35호_고창 무장동헌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35호 _ 고창 무장동헌 (高敞 茂長東軒) 수    량 : 1동지정일 : 1973.06.23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무장읍성길 45 (무장면, 무장읍성)시   대 : 조선시대 명종20년(1565) 고창 무장동헌은 관아에서 업무를 처리하던 중심 건물로 당시 현감이 집무하던 곳이다. 조선 명종 20년(1565)에 세웠으며, 한때 무장초등학교 교실로 사용하기도 하여 변형이 된 것을 1989년 원형으로 복원하였다. 앞면 6칸·옆면 4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으로 전체적으로 장중한 느낌을 주는 조선시대 건축물이다. 고창 무장동헌 표지판  무장읍성에서 바라본 무장동헌 전경 고창 무장동헌 삼문 및 담장 고창 무장동헌 고창 무장동헌 * 현재..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34호_고창 무장객사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34호 _ 고창 무장객사 (高敞 茂長客舍) 수    량 : 1동지정일 : 1973.06.23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무장읍성길 45 (무장면, 무장읍성)시   대 : 조선시대 선조14년(1581) 이 건물은 조선시대 무장현의 객사로 쓰이던 것으로 선조 14년(1581)에 건립하였다. 객사는 궐패를 모셔 두고 현의 수령이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배례하는 정청과 왕명으로 지방에 내려오는 벼슬아치들의 숙소로 쓰이는 좌·우현으로 구성된다. 이 객사의 정청은 바로 위까지 내려와 있다. 눈썹은 초승달처럼 갸날프게 처리되어 있고 눈은 반쯤 뜨고 정면 3칸, 측면 3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초석의 석재 하부는 네모지게 상부는 반구형으로 다듬고 그 위에 두리기둥을 세운 외에 별다른 특..

일호(一濠) 남계우(南啓宇)의 <나비>

<나비(群蝶圖)>_ 일호(一濠) 남계우(南啓宇, 1811~1890) , 조선 19세기, 종이에 색(紙本彩色), 국립중앙박물관 붉은 바탕에 금가루가 화려하게 뿌려진 종이 위에 다양한 나비와 나방이 그려져 있다. 나비 떼가 삼삼오오 무리를 이루어 활짝 날개를 펼치거나, 반만 펼치거나, 나비의 다채로운 동작이 담겨 있다. 남계우는 나비를 잡아서 관찰하였는데, 나비 날개 무늬를 특히 섬세하게 그렸다. 그의 나비 그림을 보면, 나비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컷과 암컷의 발생 계절도 알 수 있을 정도로 나비 실물과 닮았다.<나비(群蝶圖)>_ 일호(一濠) 남계우(南啓宇, 1811~1890) <나비(群蝶圖)>_ 일호(一濠) 남계우(南啓宇, 1811~1890) <나비(群蝶圖)>_ 일호(一濠) 남계우(南啓宇..

돌틈에 자란 돌나물

돌틈에 자란 돌나물 여러해살이풀로 전국 각지에 널리 분포한다. 산록의 양지 바른 풀밭속에서 또는 바위틈에서 난다.돌나물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6-10mm로서 5수이고 높이 15cm정도의 꽃대가 곧추 자라 그 끝에 많은 황색꽃이 취산꽃차례로 달린다돌나물 이른 봄에 김치를 만들며 연한 순은 나물로 식용할 수 있다.돌나물 돌나물 2024.05.13'청허(淸虛)'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호_당진 영랑사 대웅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호 _  당진 영랑사 대웅전 (唐津 影浪寺 大雄殿) 수    량 : 1동지정일 : 1973.12.26소재지 : 충청남도 당진시 진관로 142-52 (고대면, 영랑사)시   대 : 조선시대 중기 영랑사는 신라 진흥왕 25년(564)에 아도화상이 세웠다는 설과 백제 의자왕 8년(648)에 당나라 아도화상이 세웠다는 두 가지 설이 있으나 모두 신빙성이 없다. 고려 선종 8년(1091) 대각국사 의천이 크게 수리하면서 사찰의 면모가 갖추어진 것으로 보인다. 조선 숙종 4년(1678)에 보수하였고, 일제시대에도 대웅전을 수리하였다. 대웅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17호_채운포 석교비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제217호 _ 채운포 석교비 (彩雲浦 石橋碑) 수    량 : 1기지정일 : 1984.05.17소재지 : 충남 당진시 당진읍 채운리 채운포에 돌다리를 놓은 것을 기념하고자 세워 놓은 비로, 받침돌과 머릿돌이 없어진 채 비몸만 남아 있다. 비몸의 꼭대기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고 네모나게 돋아있어 여기에 비의 머릿돌을 얹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비의 윗부분에는 비의 명칭을 새기고, 그 아래에 비문을 새겼는데, 아래의 작은 글자들은 거의 알아볼 수가 없으며, 맨 끝부분에 ‘승정기원후 51년(1688) ’이란 연대를 겨우 알아볼 수 있을뿐이다. 비의 옆면에는 스님들의 이름으로 보이는 글자가 희미하게 보인다. 원래 역천 갯가에 있던 것을, 1960년대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 세운 것이라 한다.채운..

튤립나무(목백합)

튤립나무길 목백합은 5월에 튤립꽃을 꺼꾸로 메단 듯한 꽃이 많이 피어 일명 튤립나무라고도 합니다튤립나무길 꽃은 많이 피지만 색갈이 나뭇잎과  같은 녹색이어서 사람들 눈에는 별로 띄지않습니다.튤립나무 튤립나무는 병충해에 비교적 강하며, 이 나무가 자라기에 적당한 장소에서는 큰 녹음수로 성장한다. 공해와 건조, 추위에 강하며 성장속도도 빠른 편이어서 가로수로 흔히 심고 있다. 튤립나무는 약 200년이 되어야 완전히 자라게 되며, 관상용 및 목재용으로 이용된다. 목재는 밝은 노란색에서 노란빛이 감도는 녹색으로 가구재, 합판 패널, 종이, 목공제품, 상자 및 나무상자 등을 만드는 데 쓴다. - 다음백과 -튤립꽃   튤립꽃 튤립꽃 튤립꽃   튤립꽃 튤립꽃 튤립나무잎 2024.05.12, 고창 튤립나무길'청허(靑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