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554호 _ 달성 태고정 (達城 太古亭)
수 량 : 1동
지정일 : 1971.12.06
소재지 : 대구 달성군 하빈면 묘리 638번지
시 대 : 조선 성종 10년(1479)
이 건물은 조선 성종 10년(1479) 박팽년의 손자인 박일산이 세운 별당건축이다. 지금 있는 건물은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불타서 일부만 남았던 것을 광해군 6년(1614)에 다시 지은 것이다. 일명 ‘일시루(一是樓)’라고도 한다. 현재 대청에는 임진왜란 후 치찰사로 온 윤두수의 한시를 새긴 현판과, 정유재란 후 명군 선무관이 남긴 액자 들이 있다.
네모난 모양의 단 위에 서 있으며 앞면 4칸 ·옆면 2칸 크기로, 동쪽 2칸은 대청마루이고, 서쪽 2칸은 방으로 꾸몄다. 대청 앞면은 개방되어 있는데 옆면과 뒷면에는 문을 달았을 것으로 추정한다. 대청 앞 기둥 사이에는 2층으로 된 난간을 설치하였다. 서쪽에는 온돌방과 부엌을 마련해 놓았는데 단순한 아궁이가 아닌 부엌을 한쪽 구석에 둔 것은 흔치않은 것이다.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은 건물이지만 가구나 세부가공이 정교한 편이다.
달성 태고정 표지판
달성 태고정 표지석
달성 태고정 좌측면
건물규모는 앞면 4칸, 옆면 2칸의 단층 건물로,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박팽년(朴彭年, 1417~1456)의 절의를 기리기 위해 세운 절의묘(節義廟)와 99칸 규모의 종택(宗宅)에 딸린 별당 건물이다.
1479년(성종 10)에 박팽년의 손자인 박일산(朴壹珊)이 건립하였는데,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14년(광해군 6)에 다시 세웠다고 전한다.
박팽년(朴彭年, 1417~1456)
조선 전기의 문신.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 집현전 학사로 여러 가지 편찬사업에 종사했고 단종복위를 도모하다 김질의 밀고로 탄로되어 체포되어 고문으로 옥중에서 죽었다.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글씨에 《취금헌천자문(醉琴軒千字文)》이 있다. 묘는 서울 노량진 사육신묘역에 있다.
달성 태고정 우측면
달성 태고정 좌측면
달성 태고정 우측면
달성 태고정 정면
달성 태고정 정면
달성 태고정 현판
태고정 편액은 정면 처마와 마루에 두개가 걸려 있다.
처마에 걸려 있는 것은 박팽녀의 후손의 글씨이다.
태고정과 나란히 처마마에 걸려 있는 일시루(一是樓) 현판
태고정을 일명 '일시루'라고도 한다. '모든 것은 하나다. 옳은 것은 오직 하나 뿐이다' 라는 뜻이다.
달성 태고정 정면 내부
달성 태고정 좌측 내부
달성 태고정 우측 내부
태고정중수기(太古亭重修記)
태고정에 활짝 핀 백일홍
2021.07.23. 대구 달성군 하빈면 묘리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명품전, 보물 제1393호_김홍도필 추성부도 (0) | 2021.07.30 |
---|---|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명품전, 보물 제401호_금동여래입상 (0) | 2021.07.28 |
보물 제568-2호_윤봉길의사 유품 (0) | 2021.07.17 |
보물 제568-3호_윤봉길의사 유품 (0) | 2021.07.17 |
보물 제1177호_오명항초상 및 양무공신교서 (0) | 202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