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17호 _ 쌍조석간 (雙鳥石竿)
수 량 : 1기
지정일 : 1983.08.24
소재지 : 전북 부안군 계화면 대벌리 413번지
시 대 : 조선 영조 25년(1749)
대벌 마을 입구에 서 있는 높이 360㎝의 돌기둥으로, 이 마을의 당산이다. 당산은 신이 있다고 믿는 민간신앙의 대상물로, 이 지방에서는 마을의 평안과 풍농·풍어 등을 기원하고, 병과 재앙을 막아주며, 자손의 번창을 도와주는 마을 공동신이 되고 있다.
굵직한 돌기둥 위로는 두 마리의 새를 조각하여 올려놓았다. 새를 얹어 두는 것은 새의 활동영역이 하늘·땅· 물 등으로 광범위하여 신과 인간을 연결해주는 매개체로 믿는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 마을의 당산제는 정월 초사흗날 밤에 성대하게 거행되는데, 당산에 멍석으로 막을 치고 여자들의 접근을 일체 금지시킨 가운데 엄숙하게 진행된다. 제사를 마친 후에는 무명베 한 필로 한 해의 운수를 점치는 ‘베다리기’와 베다리기가 끝난 베로 돌기둥 꼭대기에 얹혀있는 두 마리의 새를 감아주는 ‘머리얹기’라는 특이한 놀이를 벌인다. 하지만 아쉽게도 간척사업으로 어업이 쇠퇴하면서 70년대 후반 경부터 당제의 풍습은 사라졌다.
기둥 중간에 새긴 기록으로 보아 조선 영조 25년(1749)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오래되고 건립연대를 뚜렷이 알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으며, 돌에 신성함을 부여하여 섬기던 민간신앙의 한 예를 엿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쌍조석간 표지판
쌍조석간 표지석
쌍조석간
쌍조석간
쌍조석간
쌍조석간
쌍조석간
굵직한 돌기둥 위에 두마리의 새
2024.04.01, 부안군 계화면 대벌리, 쌍조석간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시도민속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9호_김정회 고가 (27) | 2024.06.05 |
---|---|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 제1호_황실축원장엄수 (66) | 2024.05.04 |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32호_호서 옥마산 김부대왕지기 (25) | 2024.02.14 |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6호_보령 독산리 독살 (37) | 2024.02.07 |
세조가 마곡사에 올 때 타고 온 가마, 세조대왕 연 (42) | 2023.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