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꿈꾸는 예술가들 75

알프레드 롤러의 <제16회 비엔나 분리파 전시회 포스터>

<제16회 비엔나 분리파 전시회 포스터> _ 알프레드 롤러(Alfred Roller, 1864~1935), 1902년, 종이에 다색 석면화, 레오폴트미술관 '예술을 위한 예술'을 주제로 열린 제16회 전시회에서는 비엔나 분리파의 예술적 자유와 혁신을 강조했다. 또한 분리파에서 발행한 잡지 『베르 샤크룸(성스러운 봄) 』을 특별한 주제로 다뤄 진보적인 예술의 흐름을 보여 주었다. 알프레드 롤러는 단순한 형태와 추상적인 장식의 석판화로 포스터를 만들었다. 알아보기 어려운 굵은 서채는 롤로가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 위해 사용한 방식이다. 굵고 글자 간 간격이 좁은 서체는 롤러를 대표하는 특징이다.<제16회 비엔나 분리파 전시회 포스터> _ 알프레드 롤러(Alfred Roller, 1864~1935) 2025.0..

알프레드 롤러의 <제14회 비엔나 분리파 전시회 포스터>

<제14회 비엔나 분리파 전시회 포스터>_ 알프레드 롤러(Alfred Roller, 1864~1935), 1902년, 종이에 다색 석면화, 레오폴트미술관  비엔나 분리파는 혁신의 상징인 베토벤에 대한 존경의 뜻을 담아 이 전시회를 열었다. 알프레드 롤러가 그린 포스터는 궁금증을 자아내는 상징과 장식이 돋보인다. 한 여성이 손에 든 빛나는 물체를 보기 위해 몸을 굽히고 있다. 어둠에서 빛을 향해 나아가는 이 물체는 비엔나 예술계의 새로운 빛이 되고 싶었던 비엔나 분리파의 이상을 보여 준다. 2025.02.07, 국립중앙박물관_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루돌프 칼바흐의 <1908년 비엔나 예술전람회 포스터>

_ 루돌프 칼바흐(Rudolf Kalvach, 1883~1932), 1908년, 종이에 다색 석판화, 레오폴트미술관 '비엔나 예술전람회'는 20세기 초 비엔나 예술가에 큰 반항을 일으킨 전시였다. 1905년 비엔나 분리파에서탈퇴한 구스타프 클림트와 동료들은 '클림트 그룹'을 만들어 더 새롭고 실험적인 예술 운동을 선보였다. 이 전시에서 에곤 실레는 대중에게 작품을 처음 공개했고, 오스카 코코슈카 등 다른 젊은 예술가들도 참여했다. 루돌프 칼바흐는 이 전시회의 포스터를 만들었다. 단순한 색으로 숲 앞에서 무릎을 꿇은 여인을 표현했는데, 이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상징한다.  _ 루돌프 칼바흐(Rudolf Kalvach, 1883~1932) 2025.02.07, 국립중앙박물관_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

카를 몰의< 베토벤하우스 9호, 10호>

_ 카를 몰(1861~1945, 오스트리아), 1903~1906년, 종이에 목판화, 23.7×22.7cm, 레오폴트미술관베토벤의 집이 있는 거리를 그린 목판화 연작카를 몰은 비엔나 디자인 공방과 협력해  '베토벤하우스'라는 목판화 연작을 만들었다. 이 작품들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머물렀던 비엔나의 집들을 묘사했다. 몰은 비엔나 분리파가 존경했던 베토벤의 삶과 관련된 장소들을 그렸다. 이 연작은 간결하고 세련된 몰의 작품 세계를 잘 보여 준다. 르네상스 시기에 전성기를 맞았던 목판화는 19세기 유럽에서 다시 유행했고 비엔나에서도 활발하게 만들어졌다  _ 카를 몰(1861~1945, 오스트리아), 1903~1906년, 종이에 목판화, 23.4×23.4cm, 레오폴트미술관 2025.02.07, 국립중앙박물관..

클로만 로저의 <구름 습작>, <레장(르 샤모세르산)>

_ 콜로만 모저(Koloman Moser, 1868~1918, 오스트리아), 1914년경,  카드보드에 유화, 레오폴트미술관색체의 실험, 모저의 풍경화비엔나 디자인 공방을 떠난 콜로만 모저는 회화 작업에 집중했고 특히 풍경화를 즐겨 그렸다. 1913년 제네바에서 스위스 상징주의 화가 페르디낭 호들러를 만났다. 호들러가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단순한 형태와 선명한 색체는 모저의 학풍에 영향을 주었다. 1916년까지 을 포함해 볼프강 호수를 그린 여러 점의 풍경화를 남겼 _ 콜로만 모저(Koloman Moser, 1868~1918, 오스트리아), 1913년,  캔버스에 유화, 레오폴트미술관 2025.02.07, 국립중앙박물관_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클로만 모저의 <칠엽수 꽃, 마리골드>

_ 콜로만 모저(Koloman Moser, 1868~1918, 오스트리아), 1912년경, 1909년,  캔버스에 유화, 레오폴트미술관 빛의 색의 마법, 모저의 꽃 그림 비엔나 디자인 공방의 설립을 이끈 콜로만 모저는 다양한 재질의 공예품을 만들고 그래픽 디자이너로도 활동했다. 수공예와 장인 정신을 내걸였던 공방이 재정적 어려움을 겪자, 경영 방식에 대한 의견 충돌이 생겼고 결국 모저는 1907년 디자인 공방을 떠났다. 그 뒤로 모저는 회화를 자신의 예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삼았다. 특히 하루 또는 계절에 따라 빛과 색이 달라지는 장면을 담은 풍경화를 많이 그렸다. 이후에도 강렬한 색체를 띠는 정물과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_ 콜로만 모저(Koloman Moser, 1868~1918, 오스트리아), 19..

오스카 코코슈카의 <목화 솜 따는 소녀>

_ 오스카 코코슈카(Oskar Kokoschka, 1886~1980,오스트리아), 1908년, 종이에 다색 석판화, 레오폴트미술관 1908년 비엔나 예술전람회 포스터 오스카 코코슈카는 구스타프 클림트와 요제프 호프만의 제안으로 1908년 비엔나 예술전람회의 포스터를 디자인했다. 직선적이고 단순한 윤곽선, 음영이 없는 색면의 사용, 두꺼운 서채 등은 비엔나 분리파가 만든 포스터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 준다. 이 포스터는 루돌프 칼바흐가 디자인한 1908년 비엔나 예술전람회 또 다른 포스터와 매우 비슷한 양식이다. 코코슈카와 칼바흐는 비슷한 시기에 비엔나 예술공예학교에서 공부했으므로 동료로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높다. _ 오스카 코코슈카(Oskar Kokoschka, 1886~1980,오스트리아..

오스카 코코슈카의 < "얼굴인식" 강연을 위한 포스터>

< "얼굴인식" 강연을 위한 포스터> _ 오스카 코코슈카(Oskar Kokoschka, 1886~1980,오스트리아), 1911년, 종이에 다색 석판화, 레오폴트미술관 오스카 코코슈카는 1912년 '비엔나 문학 및 음악 협회'강연에서 '얼굴'이 단순히 일부가 아니라 인간의 감정과 영혼을 담아내는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전통적인 초상화 양식에서 벗어나 이 발언에 청중들은 충격을 받았고, 감정과 내면 상태를 어떻게 얼굴로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코코슈카는 당시 비엔나 비평가와 대중의 혹평에 시달렸다. 그는 강연 홍보 포스터에서 자신을 고통받는 비탄의 예수를 상징하는 도상인 '에케 호모(Ecce Homo)'에 비유해 비엔나 예술계에서 느낀 고립감을 표현했다.< "얼굴인식" 강연을 위한 포..

오스카 코코슈카의 <양쪽에서 본 화가의 자화상>

_ 오스카 코코슈카(Oskar Kokoschka, 1886~1980,오스트리아), 1923년, 종이에 다색 석판화, 레오폴트미술관 취리히 볼프스베르크에서 열린 코코슈카 전시회를 위한 포스터 오스카 코코슈카는 1923년 가을, 취리히의 갤러리 볼프스베르크에서 열린 자신의 단독 전시회 포스터로 같은 해에 그린 자화상을 활용했다. 왼손에 붓을 들고 관람자를 쳐다보는 그림 속 인물은 예술가이자 개인전을 개최하는 주인공인 코코슈카 자신을 표현한 것이다. 이 개인전은 코코슈카가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넘어 국제적인 예술가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2025.02.07, 국립중앙박물관_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전시자료▼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오스카 코코슈카의 <피에타>

_ 오스카 코코슈카(Oskar Kokoschka, 1886~1980,오스트리아), 1908년, 종이에 다색 석판화, 레오폴트미술관 연극을 위한 포스터 극작가로 활동하기도 했던 오스카 코코슈카는 1909년 비엔나 국제예술전람회에서 공연한 연극의 극본을 직접 썼다. 이 연극에서는 남자와 여자의 갈등을 폭력과 욕망에서 비롯한 권력 투쟁으로 묘사했고, 강렬한 감정과 파괴적인 주제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코코슈카는 자신의 연극을 홍보하기 위한 포스터도 직접 만들었다. 피 흘리는 그리스도를 안고 있는 도상이 그려진 이 포스터에는 애도하는 모습 대신 분노에 찬 야수같은 성모가 등장한다. 거친 글씨체는 이 그림의 연극에 담긴 잔혹하고 격렬한 분위기를 드러낸다. _ 오스카 코코슈카(Oskar Kokoschka, 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