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동화사 4

보물 제2204호_대구 동화사 봉황문

보물 제2204호 _ 대구 동화사 봉황문 (大邱 桐華寺 鳳凰門) 수 량 : 1동 지정일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산 124-1 시 대 : 조선시대 「대구 동화사 봉황문」이 위치한 동화사는 신라시대에 창건(極達和尙 또는 心地王師 창건)된 것으로 전해진다. 봉황문으로 불리는 일주문은 조선후기 1633년(선조 11년)에 최초 건립되었다. 원래는 옹호문(擁護門) 자리에 위치하였으나 1965년에 현 위치로 이건하였다. 봉황문 앞쪽에는 ‘팔공산동화사봉황문(八公山桐華寺鳳凰門)’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동화사 봉황문은 5량가의 단칸 팔작지붕이며 주심포와 주간포를 가진 다포식이다. 축부는 주천방(柱穿枋, 기둥을 꿰뚫는 부재)을 사용한 상부사재형(上部斜材形, 양팔보형에서..

문화재/보물 2023.01.14

보물 제243호_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보물 제243호 _ 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大邱 桐華寺 磨崖如來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대구 동구 팔공산로201길 41, 동학사(도학동) 시 대 : 통일신라시대 동화사 입구 오른쪽의 암벽을 다듬어서 조각한 불상이다. 지상에서 높이 위치한 이 불상은 구름을 타고 하늘에서 내려오는 듯한 개성있는 모습이다. 얼굴은 부피감을 느낄 수 있는 비교적 풍만한 모습인데, 세부표현은 평면적이며, 짧은 목에는 3개의 주름이 있고, 어깨는 반듯하다. 손모양은 오른손을 무릎에 대어 손끝이 아래를 가리키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배꼽 앞에 놓았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데, 규칙적으로 얇게 빚은 평행의 옷주름선이 나타나있다.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는..

문화재/보물 2021.03.31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9호_동화사 염불암 청석탑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9호 _ 동화사 염불암청석탑 (桐華寺 念佛庵靑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88.05.30 시 대 : 고려시대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산124-1 동화사에 딸린 암자인 염불암 안마당에 서 있는 탑으로, 원래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청석탑이란 벼루를 만들던 점판암을 이용해 만든 탑인데, 이 탑은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바닥돌 이외에는 모두 이 재질의 돌이 쓰였다. 탑은 3단의 바닥돌 위에 쌓아 놓았는데, 세울 당시에는 기단(基壇)과 탑신부(塔身部)의 몸돌들이 있었을 것이나 지금은 10개의 지붕돌만이 포개진 상태이다. 지붕돌은 파손이 심하여 곳곳에 작은 돌을 괴어 놓았는데 그 모습이 안쓰럽다. 지붕돌은 밑면에 2단씩의 받침을 두었으며, 윗면에 느린 경사가 흐른다..

보물 제1563호_대구 동화사 대웅전

보물 제1563호 _ 대구 동화사 대웅전 (大邱 桐華寺 大雄殿) 수 량 : 1동 지정일 : 2008.04.28 소재지 : 대구 동구 팔공산로201길 41 (도학동) 시 대 : 조선시대 동화사는 신라시대에 지어진 후 8차례에 걸쳐서 새로 지었으며, 대웅전 또한 여러 차례 다시 지은 것이다. 지금 있는 대웅전은 조선 후기인 영조 3년(1727)에서 영조 8년(1732)에 지은 것으로 추정한다. 대웅전은 이 절의 중심 건물로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문짝은 여러 가지 색으로 새긴 꽃잎을 장식해 놓은 소슬꽃살창을 달았다. 또한 기둥은 다듬지 않은 나무..

문화재/보물 2019.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