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사 문화재 4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호_동화사 부도군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호 _ 동화 사부도군 (桐華寺 浮屠群) 수 량 : 10기 지정일 : 1986.12.05 소재지 : 대구 동구 도학동 산124-1번지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시는 곳이다. 동화사 뒷편으로는 산 중턱에서 기슭에 이르기까지 부도밭이 펼쳐져 있는데, 모두 10기에 이르는 부도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어 자리잡고 있다. 모두 이 절에서 수행한 역대 승려들의 사리를 모시고 있다. 제1호 성암당 해정대사탑-조선 헌종 5년(1839)에 세운 것으로, 네모난 바닥돌과 기단(基壇) 위로 종모양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제2호 제월당 대사탑-네모난 바닥돌 위로, 둥근 기단을 마련하고, 타원형의 탑몸돌 위로 4각 지붕돌을 얹은 모습이다. 제3호 기성당 대사탑-영조 4..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6호_동화사 수마제전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6호 _ 동화사 수마제전 (桐華寺 須摩提殿) 수 량 : 1동 지정일 : 1986.12.05 소재지 : 대구 동구 팔공산로201길 41 (도학동) 시 대 : 조선시대 동화사는 493년 극달이 ‘유가사’라 하며 세웠고, 통일신라 흥덕왕 7년(832)에 왕사였던 심지가 고쳐 지으면서 ‘동화사’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 숙종 28년(1702)에 지은 것으로 전하는 수마제전은 극락전의 다른 이름으로 쓰인다. 건물은 앞면 1칸·옆면 1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천장은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천장 속을 가리고 있는 우물천장이고, 건물 안쪽에는 아..

보물 제244호_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244호 _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大邱 桐華寺 毘盧庵 石造毘盧遮那佛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대구 동구 팔공산로201길 41, 동화사(도화동) 시 대 : 통일신라시대 민애왕(재위 838∼839)의 명복을 빌기 위해서 만든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보물 제247호)과 동시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높이 1.29m의 불상이다. 둥근 얼굴은 풍만하고 눈·코·입이 작아지고 있으며, 미소가 사라지고 단아한 모습이다. 8세기 불상에 비해 어깨는 뚜렷하게 좁아졌으며, 가슴은 평평하고, 하체의 처리도 역시 둔화되었다. 이러한 위축되고 둔화된 표현은 9세기 중엽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불상양식이다. 손모양은 비로자나불이 일반적으로 취하고 있는 모습으로 왼..

문화재/보물 2021.04.01

보물 제243호_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보물 제243호 _ 대구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大邱 桐華寺 磨崖如來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대구 동구 팔공산로201길 41, 동학사(도학동) 시 대 : 통일신라시대 동화사 입구 오른쪽의 암벽을 다듬어서 조각한 불상이다. 지상에서 높이 위치한 이 불상은 구름을 타고 하늘에서 내려오는 듯한 개성있는 모습이다. 얼굴은 부피감을 느낄 수 있는 비교적 풍만한 모습인데, 세부표현은 평면적이며, 짧은 목에는 3개의 주름이 있고, 어깨는 반듯하다. 손모양은 오른손을 무릎에 대어 손끝이 아래를 가리키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배꼽 앞에 놓았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데, 규칙적으로 얇게 빚은 평행의 옷주름선이 나타나있다.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는..

문화재/보물 2021.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