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보

국보 제113호_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기리여원 2017. 12. 9. 10:24
728x90

국보 제113호 _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靑磁 鐵畵楊柳文 筒形 甁)

 

수    량 : 1개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 고려시대 

 

고려시대에 제작된 높이 31.6㎝의 철회청자병으로 긴 통모양의 병 앞뒤에 한 그루씩의 버드나무를 붉은 흙으로 그려 넣은 소박한 병이다.

 

전체적으로 선의 변화가 거의 없는 직선이고 단순한 형태를 하고 있는데, 어깨 부분을 적당하게 모깎기를 하고 아가리가 밖으로 벌어진 모양을 하고 있어 단조로움을 덜어주고 있다. 몸통의 양면에 있는 버드나무를 제외하고 특별한 장식이 없으며, 대담하게 단순화시킨 버드나무의 간결한 표현에서 운치있고 세련된 감각이 엿보인다.

 

유약은 굽는 과정에서 우연히 한쪽 면의 버드나무 아랫부분과 다른 면의 버드나무 배경 부분이 담담한 푸른색을 띠게 되었는데 이것이 마치 연못과 같은 회화적 효과를 더해주고 있다.

 

고려 철회청자 중에는 긴 원통형의 몸체를 지닌 특이한 형태의 병들이 몇 점 전해지고 있는데, 이 병은 그 중의 한 예로 1931년 조선총독부 박물관이 일본인 수집가로부터 사들인 것이다. 형태상의 적절한 비례와 어깨의 모깎기 형태, 몸체에 그린 자연스러운 선의 흐름, 독창적인 표현들이 매우 돋보이는 작품이다.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靑磁 鐵畵楊柳文 筒形 甁)  _ 고려 12세기

청자 철화 버드나무무늬 병

넓은 여백에 단순하게 표현한 버드나무무늬가 운치 있다. 버드나무 줄기의 굵고 얇은 마디와 몇 가닥의 늘어진 잎을 간략하면서도 자연스럽게 묘사한 수준 높은 솜씨를 보여준다.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 2022.12.22, Upgrade함.

                                                                  2015.06.14, 국립중앙박물관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