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광덕산 심복사 일주문
광덕산 심복사 일주문
광덕산 심복사 일주문
광덕산 심복사 일주문 편액
해우소
해우소
해우소
응화당(應和堂)
응화당(應和堂) 편액
내원당(內院堂)
내원당(內院堂) 편액
능인전(能仁殿) 편액
대적광전(大寂光殿)
대적광전(大寂光殿) 편액
대적광전(大寂光殿) 편액
대적광전(大寂光殿)
대적광전(大寂光殿)
보물 제565호 _ 평택 심복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平澤 深福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1972.03.02
소재지 : 경기도 평택시, 심복사
시 대 : 통일신라시대
심복사 능인전 안에 모셔진 이 불상은 고려말에 파주군 몽산포에 살던 천노인(千老人)이 덕목리 앞바다에서 건져 올린 것이라고 전한다. 불상 모실 곳을 찾아 옮기던 중 광덕산에 있는 지금의 심복사 자리에 이르자 갑자기 무거워졌으므로 여기에 모시게 되었다고 한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에 있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는 낮게 표현되어 있다. 둥글고 원만한 얼굴에 귀가 크고 짧은 목에는 삼도(三道)의 표현이 뚜렷하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옷깃과 소매깃에는 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배부분에는 안에 입은 옷을 묶은 띠매듭이 있는데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되었으며, 옷주름은 규칙적인 계단식 선들로 나타내어 단조롭고 형식적이다. 대좌(臺座)는 상·중·하대로 구성되어 있다. 상대는 16개의 연꽃무늬가 겹쳐서 새겨져 있고, 중대는 두 마리의 사자가 앞발을 들어 상대를 받치고 있는 모습이다. 하대는 8개의 겹잎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다소 둔중해진 느낌도 있지만 안정되고 단정한 모습의 이 불상은 전체적인 조형이 도식화된 것으로 보아 10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에 있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는 낮게 표현되어 있다. 둥글고 원만한 얼굴에 귀가 크고 짧은 목에는 삼도(三道)의 표현이 뚜렷하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옷깃과 소매깃에는 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배부분에는 안에 입은 옷을 묶은 띠매듭이 있는데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되었으며, 옷주름은 규칙적인 계단식 선들로 나타내어 단조롭고 형식적이다. 대좌(臺座)는 상·중·하대로 구성되어 있다. 상대는 16개의 연꽃무늬가 겹쳐서 새겨져 있고, 중대는 두 마리의 사자가 앞발을 들어 상대를 받치고 있는 모습이다. 하대는 8개의 겹잎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다소 둔중해진 느낌도 있지만 안정되고 단정한 모습의 이 불상은 전체적인 조형이 도식화된 것으로 보아 10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문화재청
* 전에는 대적광전이 능인전이라고 했습니다. 능인전일 때 표지판입니다. 이제는 한쪽으로 치워져 있고 새로운 표지판이 새워졌습니다..
보물 제565호 _ 평택 심복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平澤 深福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
보물 제565호 _ 평택 심복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平澤 深福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
보물 제565호 _ 평택 심복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平澤 深福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
향림당(香林堂)
향림당(香林堂) 편액
향림당(香林堂)
향림당(香林堂)
심복사 삼성각
삼성각
728x90
'문화재 >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위 지보사(2016.02.09.화요일), 보물 제682호_군위 지보사 삼층석탑 (0) | 2016.02.11 |
---|---|
구미 죽장사 (2016.02.09.화요일), 국보 제130호_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0) | 2016.02.11 |
평택 만기사. (2016.01.31.일요일), 보물 제567호_평택 만기사 철조여래좌상 (0) | 2016.02.02 |
북한산 태고사 (2016.01.17.일요일), 보물 제611호_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보물 제749호_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0) | 2016.01.18 |
안동 보광사. (2015.12.27), 보물 제1571호_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0) | 2016.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