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남양주 봉선사 4

보물 제1792호_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보물 제1792호 _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南楊州 奉先寺 毘盧遮那三身掛佛圖) 수    량 : 1폭지정일 : 2012.12.27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봉선사길 32 (진접읍, 봉선사)시   대 : 1735년(영조11)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는 비로사나삼신불(毘盧舍那三身佛)과 권속을 그린 괘불도로, 상부의 중앙에 법신(法身) 비로자나불, 향우측에 보신(報身) 노사나불, 향좌측에 화신(化身) 석가불, 하단 좌우로는 6구의 보살과 범천 및 제석천, 10대 제자, 하단 중앙에는 주악천인과 용왕, 용녀 등을 배치하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삼신불과 권속들을 함께 그렸지만 언뜻 보면 삼신불 중심의 구도로 연상될 만큼 화면 상단의 삼신불을 큼직하게 배치하였는데, 이러한 삼신불 중심의 구성은 이 괘불..

문화재/보물 2024.10.11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5호_남양주 봉선사 독성도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5호 _  남양주 봉선사 독성도수    량 : 1점지정일 : 2011.03.08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봉선사길 32 (진접읍, 봉선사) 독성도는 금호약효(金浩若效)가 수화승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1883년 이후의 작품으로, 한국의 불화(33)-봉선사에는 봉선사 북두각 칠성탱의 조성시기와 같은 1903년으로 되어있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20세기 초반의 화풍으로 생각된다.독성으로 대변되는 나반존자는 원형의 신광을 지니고, 왼손에 석장(錫杖)을 쥐고 있으며 오른손에는 영지를 들고 있다. 독성의 좌측에는 걸망을 지고 있는 진각거사가 서 있으며, 우측에는 2명의 동자가 있다. 학, 거북이, 소나무, 영지, 구름, 바위, 물 등 수복장수를 상징하는 십장생의 요소들을 배치시킴으로써..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4호_남양주 봉선사 칠성도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4호 _ 남양주 봉선사 칠성도 수    량 : 1점지정일 : 2011.03.08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봉선사길 32 (진접읍, 봉선사) 북두각에 모셔진 칠성탱은 치성광여래를 본존으로 모시고 일광․월광보살을 협시로 하였으며 칠성을 상징하는 칠여래와 칠원성군을 중단과 하단에 배치하였다. 존상들 사이사이에 구름을 배치하여 3단으로 구획을 지었으며 좌우 천상세계의 채운 속에 삼대육성(三臺六星)을 표현하였다. 비단에 적색, 녹색, 갈색을 주로 사용하여 다소 무거운 감이 있으나 구름의 테두리를 호분으로 처리하여 하이라이트 효과를 주었으며, 치성광삼존과 칠여래와 성군, 그리고 천상에 삼대육성만을 표현항 비교적 간단한 구도의 칠성탱이다남양주 봉선사 칠성도  _  상규 스님 등, 대한제국 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