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남양주 불암사 3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05호_남양주 불암사 감로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05호 _ 남양주 불암사 감로도 (南楊州 佛巖寺 甘露圖) 수    량 : 1점지정일 : 2023.08.22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산로 190 (별내동, 불암사)시   대 : 조선시대 1890년 불암사 대웅전에 봉안하기 위해 제작한 불화입니다. 화면 상단의 일곱 부처님, 중단의 시식단과 그 앞에서 범패와 작법을 준비하는 스님 들의 모습,  하단의 두 쌍의 아귀와 줄타기 공연을 하는 놀이패와 같은 풍속화의 장면과 죽음의 장면으로 전체적인 구도와 도상이 흥국사 감로도와 유사합니다. 불화의 제작은 긍법 스님이 주도하였습니다. 긍법 스님은 19세기 흥국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스님들과 함께 작업하면서 초본을 공유하였으며 이들은 유사한 불화를 조성하였습니다.남양주 불암사 감로도 (南楊州 佛..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04호_남양주 불암사 신중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04호 _ 남양주 불암사 신중도 (南楊州 佛巖寺 神衆圖) 수    량 : 1점지정일 : 2023.08.22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산로 190 (별내동, 불암사)시    대 : 조선시대 대한제국 황실이 발원한 신중도 1907년 긍법 스님과 13명이 스님이 함께 조성한 불화입니다. 화면은 날개깃 투구를 쓴 위태천을 중심으로 그 위로 범천과 제석천을 배치하여 역삼각형 구도를 이루고 주변에는 여러 신중을 배치하였습니다. 화기에 의하면 강재희가 대한제국 황실의 지원을 받아 고종과 순종, 의친왕 등 황실의 안녕을 위해 발원하였습니다.남양주 불암사 신중도 (南楊州 佛巖寺 神衆圖)  _ 긍법 스님등, 대한제국 1907년, 면에 채색, 불암사 대웅전 2024.09.21, 불교중앙박물관_큰 법..

보물 제2003호_남양주 불암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보물 제2003호 _ 남양주 불암사 목조관음보살좌상 (南楊州 佛巖寺 木造觀音菩薩坐像) 수 량 : 보살상 1구, 조성발원문 1점, 후령통 1점, 중수발원문 1점 지정일 : 2018.10.30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사 시 대 : 조선 1649년(인조 27) ‘남양주 불암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은 17세기 전반기 전국 각지에서 크게 활약한 조각승 무염(無染)을 비롯하여 성수, 심인, 상림, 경성 등 모두 5명의 조각승이 참여하여 1649년(인조 27)에 완성한 불상이다. 조성발원문과 중수발원문이 남아 있어 이 보살좌상이 원래 대둔산 묘련암에 봉안하기 위해 제작되었고 1907년 양주 천보산 불암사에 봉안하기 위해 개금 중수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높이 67cm의 단아한 규모에 머리에는 연꽃과 불꽃문양..

문화재/보물 2020.08.0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