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

보물 제569-21호_안중근의사 유묵 - 욕보동양선개정략시과실기추회하급

보물 제569-21호 _  안중근의사 유묵 - 욕보동양선개정략시과실기추회하급 (安重根義士 遺墨 - 欲保東洋先改政略時過失機追悔何及) 수    량 : 1점지정일 : 1991.07.12소재지 : 경기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 152, 석주선기념박물관 (죽전동,현대홈타운4차3단지)시    대 : 1910년 3월 안중근은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16세가 되던 1894년 아버지가 감사의 요청으로 산포군을 조직하여 동학군을 진압하려고 나서자 이에 참가하였다. 1906년 삼흥학교를 설립하고, 돈의학교를 인수하여 학교경영에 전념하기도 했다. 항일무장투쟁을 시작한 후 일본군 정찰대를 공격, 격파했으며, 1909년 10월 26일 이토 히로부미를 태운 열차가 하얼빈에 도착하여 그가 러시아 장교단을 사열하고 군중 쪽으로 발길을 ..

문화재/보물 2024.10.29

희릉을 지키는 돌호랑이

_ 조선 1515년, 석조(石造), 서울시 서초구 내곡동 구 희릉 출토,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희릉을 지킨던 돌호랑이 조선 중종(中宗, 재위 1506~1544)의 계비인 장경왕후(章敬王后, 1491~1515)의 초장지(初葬地)인 구(舊) 희릉(禧陵)에 있던 돌호랑이이다. 이 석호는 왕릉 돌호랑이 중 높은 돌출감과 괴체감을 보여주는 우수한 조각으로, 위협적인 표정에 험악하게 주름진 미간, 부리부리한 눈과 날카로운 송곳니 등의 표현에서 죽은 왕과 가장 가까운 곳에 호랑이와 양을 네 구씩 밖을 향하도록 배치했는데, 이는 외부의 침입에 대해 경계하고 능을 지키는 수호자로서의 호랑이의 역할을 보여주는 것이다. 2018.01.27. 국립중앙박물관_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