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대구간송미술관_ 여세동보 3

국보 제70호_훈민정음

국보 제701호 _ 훈민정음 (訓民正音) 수    량 : 1책지정일 : 1962.12.20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시   대 : 조선 세종 28년(1446) 이 책은 새로 창제된 훈민정음을 왕의 명령으로 정인지 등 집현전 학사들이 중심이 되어 세종 28년(1446)에 만든 한문해설서이다.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고도 하고, 해례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이나, 앞 2장은 1940년경에 복원된 부분이다.구성을 보면 총 33장 3부로 나누어, 제1부는 훈민정음의 본문을 4장 7면으로 하여 면마다 7행 11자씩, 제2부는 훈민정음해례를 26장 51면 3행으로 하여 면마..

문화재/국보 2024.09.30

보물 제348호_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반합

보물 제348호 _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반합 (粉靑沙器 象嵌牡丹文 飯盒) 수    량 : 1개지정일 : 1963.01.21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시   대 : 조선시대(15세기) 분청사기 상감모란문 반합(粉靑沙器 象嵌牡丹文 飯盒)은 회색의 바탕흙에 백토로 모란 꽃잎을 면으로 넣어 상감한 뒤, 연한 청색을 띤 회백색의 투명한 유약을 골고루 칠한 높이 16㎝, 몸 지름 16.8㎝의 반합이다.몸체와 뚜껑의 경사면에 모란꽃과 잎을 너래상감하고, 뚜껑의 가장자리에는 자잘한 풀 무늬를 백상감하였다. 모란무늬가 있는 사이로 큰 줄기를 역동적으로 새겼다.합의 아가리에 풀꽃무늬 띠를 둘렀으며, 그 아래로 두 줄의 선을 긋고 그 안에 모란무늬를 상감하였다. 뚜껑의 아가리 역시..

문화재/보물 2024.09.28

국보 제72호_금동계미명삼존불입상

국보 제72호 _ 금동계미명삼존불입상 (金銅癸未銘三尊佛立像) 수    량 : 1구지정일 : 1962.12.20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시   대 : 삼국시대 커다란 하나의 광배(光背)를 배경으로 중앙에 본존불과 양 옆에 협시보살을 배치하고 있는 삼존불(三尊佛)이다.중앙의 본존불은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불상 전체 크기에 비해 크고 높게 표현되었다. 미소를 띤 갸름한 얼굴은 앞으로 약간 숙이고 있으며, 어깨와 가슴은 약간 좁은 듯 하지만 둥글고 강인하게 처리되었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에는 정면으로 V자형 옷주름이 있으며, 좌우로는 새의 깃같은 옷자락이 뻗치고 있다. 오른손은 손바닥을 정면으로 하고 손끝이 위로 향하고 있으며, 왼손은 손바닥을 정면으로 ..

문화재/국보 2024.09.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