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성보문화재 특별공개전 19

제천 정방사 나한도 · 독성도

제천 정방사 나한도 · 독성도(堤川 淨芳寺 羅漢圖 · 獨聖圖) _ 대한제국 1900년 조성, 2004.05.13. 도난 광무(光武) 4년(1900)에 제작하여 정방사에 봉안한 나한도와 독성도이다. 일제강점기 재산대장에도 나한도와 독성도가 명기되어 있어 기록과 성보가 일치한다. 나한도는 작은 크기로 한 폭에 열여섯 분의 나한을 모두 그렸다. 원통전의 봉안 공간이 작아 한 화면에 모든 존상을 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독성도는 19세기부터 유행하였으며, 주로 소나무가 있는 깊은 산에 은거하는 수행자의 모습으로 표현된다. 두 불화 모두 화기가 훼손되어 불화 조성에 대한 정보를 온전히 알아 볼 수 없다. 2014년, 종단과 문화쟂청, 경찰청이 협력하여 31건 48점의 성보를 환수하면서 은닉되어 있던 정방사의 두 ..

고창 문수사 신중도

고창 문수사 신중도(高娼 文殊寺 神衆圖) _ 조선 1791년 조성, 도난일 미상 고창 문수사 신중도는 화기를 통해 건륭乾隆 56년(1791) 계헌(戒憲)이 제작하여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4월에 고창 문수사에 봉안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계헌은 18세기 중반 활동한 화승으로 장성 백양사 아미타후불도와 구례 천은사 지장보살도를 조성하였다. 이 불화는 제석과 법천, 위태천을 하나의 화면에 결합하여 표현하였다. 화면은 상하로 구분되어 위로는 제석과 범천을 중심으로 두 보살과 일궁 · 월궁천자, 악기를 연주하는 주악천과 부채를 든 천동들이 있다. 아래로는 위테천을 중심으로 금강과 팔부중과 천동이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다. 고창 문수사 신중도(高娼 文殊寺 神衆圖) 2022.05.22, 불교중앙박물관_돌아온 성보문화재 ..

예천 한천사 지장시왕도

예천 한천사 지장시왕도(醴泉 寒天寺 地藏十王圖) _ 조선 1748년 조성, 도난일 미상 중앙의 지장보살과 좌우 협시인 도명존자, 무독귀왕, 좌우로 10명의 시왕과 상단의 여섯 보살이 함께 그려진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이다. 상단의 여섯 보살과 중 · 하단의 지장보살 및 권속은 구름으로 구획을 나누어 존격을 표현하고 있다. 지장보살 상단으로는 늙은 비구로 추정되는 인물이 표현되었는데 다른 지장시왕도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도상이다. 지장시왕도 조성이 유행하기 시작하던 18세기 초반 도상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이 불화의 장황은 원형이 몇 차례 변형된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족자 형태로 표구되었다. 화기가 일부 잘려나가고, 사찰명과 조성시기 등 일부 기록이 훼손되어 원 소장처를 알아 볼 수 없다. 하지만 사..

창원 성흥사 지장시왕도

창원 성흥사 지장시왕도(昌原 聖興寺 地藏十王圖) _ 조선 1746년 조성, 도난일 미상 성흥사 지장시왕도는 은해사 대웅전 삼장보살도와 통도사 팔상도(도솔내의상)를 조성한 수화승 상오(尙悟)를 중심으로 각혜(覺惠), 서도(瑞庩), 해청(海淸)이 함께 건륭(乾隆) 11년(1746)에 조성하여 성흥사 명부전에 봉안하였다. 화기의 하단이 조금 잘려나가 있어 도난 당시에 훼손된 것으로 보인다. 이 불화의 중앙에는 주존인 지장보살이 스님의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좌우에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명부시왕이 있다. 지장보살은 오른손에 보주를 들고 왼손에는 육환장을 지물로 들고 있으며, 얼굴에 비해 눈코입을 작게 표현하였다. 주색과 녹색, 청색이 주를 이루고 있어 전형적인 18세기 불화의 색채를 보인다..

강진 무위사 산신도

강진 무위사 산신도((康津 無爲寺 山神圖) _ 조선 1879년 조성, 도난일 미상 무위사 극락보전에 봉안되었던 산신도이다. 현재는 화기가 잘려 없어졌으나, 1980년대 불화 연구서에 실린 사진과 화기 등 관련 자료를 통해 강진 무위사 산신도임을 알 수 있었다. 도난 전 화기에 광서(光緖) 5년(1879)에 운파 취선(雲坡 就善)이 조성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었다. 화면의 중앙에는 흰 부채 [백익선(白翊善)]를 든 산신과 호랑이가 그려져 있으며, 상하로 세 명의 시동(侍童)이 함께 그려져 있는데 영지(靈芝)와 길상의 의미를 담은 과일 등을 지물로 들고 있다. 강진 무위사 산신도 강진 무위사 산신도 2022.05.22, 불교중앙박물관_돌아온 성보문화재 특별공개전, 환지본처(還至本處)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

구례 연곡사 삼불회도

구례 연곡사 삼불회도(求禮 鷰谷寺 三佛會島) _ 조선 1781년 조성, 도난일 미상 연곡사 삼불회도는 건륭(乾隆) 46년(1781) 성륜(聖輪)이 제작하여 연곡사 영산전 후불도로 봉안한 불화이다. 하지만 사찰명은 붉은 색으로 칠하여 알아 볼 수 없다. 이 불화는 한 폭에 석가 · 아미타 · 약사불을 모신 삼세불도이다. 현세의 석가불은 중앙 연꽃대좌에 결가부좌 하고 있으며 항마촉지인을 결하고 있다. 협시로 문수 · 보현 보살이 대좌 아래 시립해 있다. 동방정토 약사불과 서방정토 아미타불은 석가모나불과 상호가 거의 동일하나, 대의 착의법과 수인, 신광의 표현 등이 다소 차이를 보인다. 약사불 협시로는 일광 · 월광보살, 아미타불 협시로 관음 · 대세지보살이 화면 하단을 채우고 있다. 연곡사 삼불회도는 현존하..

예천 한천사 지장시왕도

예천 한천사 지장시왕도(醴泉 寒天寺 地藏十王圖) _ 조선 1748년 조성, 도난일 미상 중앙의 지장보살과 좌우 협시인 도명존자, 무독귀왕, 좌우로 10명의 시왕과 상단의 여섯 보살이 함께 그려진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이다. 상단의 여섯 보살과 중 · 하단의 지장보살 및 권속은 구름으로 구획을 나누어 존격을 표현하고 있다. 지장보살 상단으로는 늙은 비구로 추정되는 인물이 표현되었는데 다른 지장시왕도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도상이다. 지장시왕도 조성이 유행하기 시작하던 18세기 초반 도상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이 불화의 장황은 원형이 몇 차례 변형된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족자 형태로 표구되었다. 화기가 일부 잘려나가고, 사찰명과 조성시기 등 일부 기록이 훼손되어 원 소장처를 알아 볼 수 없다. 하지만 사..

구례 천은사 영상회상도

구례 천은사 영산회상도(求禮 泉隱寺 靈山會上圖) _ 조선 1776년 조성, 도난일 미상 천은사 응진전에 봉안되어 있던 영산회상도이다. 그림 하단의 화기에는 건륭(乾隆) 41년(1776) 영산회상도를 대나한전(大羅漢殿)에 봉안하였다고 적혀 있는데, 원 소장처를 은닉하기 위해 사찰명은 도려내고 붉은색으로 칠하였다. 회기의 사찰명은 훼손되었지만, 도난 이전에 연구된 자료들을 통해 천은사에서 봉안되었던 불화임을 알 수 있었다. 천은사 응진전 영산회상도는 18세기 후반 활동한 행정(幸正)이 수화승으로 육원(六圓), 환종(幻綜), 태화(泰華), 유운(有云), 성잠(性岑)과 함께 조성하였다. 이 불화는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협시인 관음 · 대세지 · 문수 · 보현보살, 가섭 · 아난존자 · 사천왕이 대칭을 이루고 있다..

대구 북지장사 지장보살도

대구 북지장사 지장보살도(大邱 北地藏寺 地藏菩薩圖) _ 조선 1765년 조성, 1994. 08.15. 도난 북지장사 지장보살도는 하단에 좌우로 화기가 있다. 화기에는 건륭(乾隆) 30년(1765)에 화승 두훈(枓訓)과 성총(性聰)이 이 그림을 그렸음이 적혀 있다. 하지만 사찰명이 적힌 부분을 도려내고 칠한 흔적이 있어 불화를 훔친 후 원 보안처인 사찰을 의도적으로 지우려 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지장보살도는 지장보살과 도명존자 · 무독귀왕, 사보살(四菩薩)로 구성되어 있다. 스님의 모습을 한 지장보살의 광배 안에는 연화당초문이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지장보살의 지물인 석장(錫杖)은 도명존자가 들고 있는데, 이는 고려시대 지장보살도에 보이는 특징이다. 대구 북지장사 지장보살도(大邱 北地藏寺 地藏菩薩圖) ..

문경 김룡사 사천왕도

문경 김룡사 사천왕도(聞慶 金龍寺 四天王圖) _ 조선 1880년 조성, 1994.08.15. 도난 김룡사 사천왕도는 4폭에 각각 한 천왕씩 그려졌다. 동방지국천왕을 칼을, 남방증장천왕은 용과 보주를, 서방광목천왕은 탑을, 북방다문천왕은 비파를 들고 있다. 지국천왕도의 화기에 조성 시기와 화승이 적혀 있다. 이 불화는 광서光緖 6년(1880)에 하은 응상(霞隱凝傷)을 중심으로 민정(珉淨), 도우(到雨), 정안(正眼), 기전(琪銓), 긍률(肯律), 상의(尙意) 등이 조성하여 천왕문에 봉안하였다. 김룡사 사천왕도는 화면에 꽉 차게 사천왕을 배치하였다. 배경은 3단으로 구성되었는데, 상단은 황색구름, 중간은 백록(白綠)을 칠하고 하단에는 돗자리를 그렸다. 1994년 8월 새볔, 도난범들이 문경 김룡사에서 대웅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