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묘법연화경 권5~7 2

보물 제971호_묘법연화경 권5~7

보물 제971호 _ 묘법연화경 권5~7(1988-2) (妙法蓮華經 卷五~七(1988-2)) 수 량 : 3권 1책 지정일 : 1988.12.28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 1405년(조선 태종5년) 묘법연화경은 줄여서 ‘법화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천태종의 근본경전으로 화엄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묘법연화경 중 권5에서 권7에 해당하는 이 책은 태종 5년(1405)에 성달생·성개 형제가 죽은 아버지의 명복을 빌기 위해 옮겨 쓴 것을 도인(道人) 신문(信文)이 목판에 새겨 찍어낸 것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3권을 하나의 책으로 엮었으며, 책의 크기는 세로 29㎝, 가로 30.5㎝이다. 책의 첫 머리에는 ..

문화재/보물 2022.07.21

보물 제950호_묘법연화경 권5~7

보물 제950호 _ 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五~七)  수   량 : 3권 1책지정일 : 1988.06.16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시   대 : 조선시대 묘법연화경은 줄여서 ‘법화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있다는 것을 중요사상으로 하고 있다. 천태종의 근본경전으로 화엄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법화경 권5-7까지 3권을 1책으로 묶었으며, 크기는 세로 34.5㎝, 가로 22.3㎝이다. 책 끝에 있는 발문(跋文:책의 내용이나 펴내게 된 경위 등을 간략하게 적은 글)을 통해, 성종 19년(1488)에 성종의 계비인 정현왕후 딸인 순숙공주의 명복을 빌기 위하..

문화재/보물 2019.11.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