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 유형문화재 5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7호_홍산객사

홍산 객사에 있는 지정문화재 1.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7호 _ 홍산객사 2. 충청남도 기념물 제3호 _ 홍산 만덕교비 3. 충청남도 기념물 제194호 _ 부여 홍산객사 은행나무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7호 _ 홍산객사 (鴻山客舍) 수 량 : 1동 지정일 : 1982.08.03 소재지 : 충남 부여군 홍산면 북촌로 47 (북촌리) 조선 헌종 2년(1836) 홍산군에 세운 객사 건물이다. 객사는 국왕의 전패를 모시고 초하루와 보름에 망궐례를 올리는 한편 왕명을 받들고 내려오는 중앙관리를 접대하고 유숙시키던 곳이다. 중앙에 정당이 있고 양쪽에 익실이 있다. 정당은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앞면은 문짝없이 트였고 옆면과 뒷면은 벽을 둘러 막았다.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40호_부여 홍산상천리마애불입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40호 _ 부여 홍산상천리마애불입상 (扶餘 鴻山上川里磨崖佛立像) 수 량 : 1구 지정일 : 1992.12.08 소재지 : 충남 부여군 홍산면 상천리 산104-1번지 시 대 : 고려시대 추정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태봉산 정상의 북쪽 산중턱 암벽에 조각한 마애불이다. 이 불상은 전체높이 6m로 한면을 택하여 조각하였는데 앞쪽이 10˚정도 기울어져 있다. 민머리이며 그 위에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커다랗게 솟아 있다. 둥글 넓적한 얼굴에 눈은 가늘게 감았고 입술은 두터우며 귀는 길게 늘어졌다. 목에는 3줄로 새겨진 삼도(三道)가 있는데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왼쪽 어깨에 걸친 옷자락에는 나비모양으로 묶은 띠매듭이 있어 매우 독특하다. 몸체에 비하여 얼굴이 크고 우람한 모..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호_부여 현내리 삼층석탑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호 _ 부여 현내리 삼층석탑 (夫餘 縣內里 三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73.12.26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금백로 369-18 (석성면)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둔다. 현내리 탑골마을에 서 있는 이 부도는 주위에 별다른 절터의 흔적을 찾을 수 없어 원래의 자리인지 다른 곳에서 옮겨온 것인지는 알 수가 없다. 맨 아래의 바닥돌은 보이지 않고, 그 위의 기단(基壇)부터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1층으로 마련된 기단은 네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본떠 새겼다. 윗돌을 괴어주는 가장자리에는 얕게 연꽃을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2층을 이루는 탑신(塔身)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몸돌은 기단에서처럼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1호_부여 세탑리 오층석탑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1호 _ 부여 세탑리 오층석탑 (扶餘 細塔里 五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73.12.26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초촌면 세탑리 312-1외 시 대 : 고려시대 추정 탑이 서 있는 터 주변에는 청량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며, 곳곳에 절을 이루는 건물에 쓰였던 돌과 기와조각이 흩어져 있다. 탑의 둘레에 높이 1m 가량의 석축을 쌓아 기단부(基壇部)는 거의 보이지 않아 맨윗돌만 드러나 있고, 그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져 있다. 탑신의 각 층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겼으며, 2층 이상은 1층에 비해 급격히 낮아졌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3단씩이고, 네 귀퉁이는 약간 들려 있다. 꼭대기에는 노반(露盤:머리장식 받침)과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만이..

카테고리 없음 2022.11.09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9호_부여 홍양리 오층석탑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9호 _ 부여 홍양리 오층석탑 (扶餘 鴻良里 五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74.09.01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홍양리 190-1 시 대 : 고려시대 안량사(安良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곳에 남아 있는 5층 석탑이다. 현재는 절이 있었던 흔적은 찾을 수 없고 다만 탑 주변으로 기와·자기조각, 토기 등이 흩어져 있을 뿐이다. 탑의 실제기단의 하부는 확인되지 않지만 지대석이 마련되어 있고 상하단의 기단석이 마련되었다. 하단은 여러매의 돌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 일부 유실이 된 상태이고 상단은 두장의 넓은 돌로 되어 있다. 그러나 중심축 침하로 인해 상단의 기단은 그나마 기울어진 형상이다. 그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 탑신부의 1층 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