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문화재자료 9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6호_장군 덕천군사우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6호 _ 장군 덕천군사우 (將軍 德泉君祠宇) 수량/면적 : 1동/ 76.5㎡ 지정일 : 2012.12.31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태산길 93-6 조선 정종(재위 1398∼1400)의 열번째 아들인 덕천군을 모시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덕천군은 가난한 백성을 정성껏 도왔으며, 왕자의 신분에도 들에 나가 농사를 지었다. 또한 여름에 홍수로 수백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자 구제하였으며, 덕을 쌓은 어른이라 하여 적덕공이라고도 불렀다. 처음 연기군 남면 방축리에 있던 건물이 낡아 조선 영조 15년(1739)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다. 장군 덕천군사우 표지판 장군 덕천군사우 홍살문 장군 덕천군사우 전경 장군 덕천군사우 전경 사우말 큰우물 장군 덕천군사우 외삼문(外三門) 창고 장군 덕천군..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10호_부강 보만정 및 검단서원 묘정비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10호 _ 부강 보만정 및 검담서원 묘정비 (芙江 保晩亭 및 黔潭書院 廟庭碑) 수량/면적 : 정자 1동, 비 1기/2,746.5㎡ 지정일 : 2012.12.31 소 재 지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호리 712-3 동춘당 송준길(1606∼1672)의 후학들이 그의 학문과 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검담서원의 묘정비와 강학공간으로 이용했던 정자인 보만정이다. 송준길은 조선 효종∼현종 때의 문신으로 예학에 매우 밝았다. 보만정은 원래 현종 10년(1669) 동춘당 송준길이 학문을 연구하며 여생을 마치려고 이곳 검담에 세운 정자이다. 숙종 20년(1694)에 송준길을 기리기 위해 검담서원을 세웠는데, 이 때부터 보만정은 검담서원의 강학공간으로 이용되었다. 고종 8년(1871) 서원이 훼..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8호_나성 독락정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8호 _ 나성 독락정 (羅城 獨樂亭) 수량/면적 : 1동/72.3㎡ 지정일 : 2012.12.31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101 독락정은 세종 19년(1437)에 양양도호부사를 지낸 임목(林穆)이 건립한 것으로, 망망한 들 가운데 있는 나성을 등지고 앞으로 금강이 흐르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독락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평면으로 후열 가운데 간에 창호를 달아 마루바닥을 만들고 나머지 부분은 개방하였다. 기단은 화강석 장대석이며 8각 장초석에 원형기둥을 두었다.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조성하였다. 나성 독락정 표지판 나성 독락정 전경 나성 독락정 전경 나성 독락정 전경 나성 독락정 나성 독락정 독락정 일각문 나성 독락정은 조선 세종 19년(1437)에 지어진 후..

조선 문신 최한정 위패를 모신 사당,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9호_금남 모인당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9호 _ 금남 모인당 (錦南 慕忍堂) 수량/면적 : 1동/89.8㎡ 지정일 : 2012.12.31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암리 197-2 시 대 : 1669년 화순 최씨의 종중 재실로, 최한정(1427∼1486)과 그의 아들인 최중온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화순 최씨는 고려 때 경주 최씨에서 분관한 성씨이며, 위패를 모시고 있는 최한정 선생은 세조 2년(1456) 진사시에 합격하고 3년 뒤에 병과에 급제하였다. 성종이 그를 신뢰하여 대사관에 임명했는데 그 뒤 이조참의를 거쳐 예조참의를 지냈다. 이 건물은 현종 11년(1669)에 세웠고 1928년에 고쳐 지었다.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로 건물 중앙에 대청마루를 깔고 접어지는 문을 달아 제사지낼 때 들어 올려 공간을..

안향선생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서원,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2호_연동 합호서원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2호 _ 연동 합호서원 (燕東 合湖書院) 수 량 : 1동/ 63.6㎡ 지정일 : 2012.12.31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합강리 104 안향의 뜻을 기리기 위한 서원이다. 안향(1243∼1306)은 고려시대의 이름난 학자로 호는 회헌이다. 고려 원종 1년(1260)에 문과에 급제하였고, 충렬왕 12년(1286) 원나라의 주자학을 전해준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이다. 합호서원은 조선 숙종 42년(1716)에 세웠으나,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고종 때(재위 1863∼1907)에 폐쇄되었다가 1927년 다시 세웠다. 사당에는 회헌 안향의 위패와 영정을 모시고 있으며, 해마다 음력 9월 12일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연동 합호서원 표지판 연동 합호서원 입구 삼거리 좌측으..

남이웅선생의 영정을 모신 사당,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7호_금남 남산영당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제7호 _ 금남 남산영당 (錦南 南山影堂) 수량/면적 : 1동/61.3㎡ 지정일 : 2012.12.31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남산길 51-4 시 대 : 9년(1906년) 남이웅(1575∼1648) 선생의 영정을 모신 사당으로 광무 10년(1906) 유림들이 세웠다. 조선 선조, 광해군, 인조 때 정치가였던 선생은 평소 법을 준수하고 사치를 하지 않은 인물이었다. 광해군 5년(1613)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좌랑, 병조좌당 등 여러 벼슬을 하였으며, 병자호란 때는 소현세자가 중국 심양으로 잡혀갈 때 극진히 모시고 따가갔다와 후에 춘성부원군에 봉해졌다. 인조 16년(1638) 대사헌이 된 후 법을 철저하게 집행하였으며, 미신을 없애려고 무당을 박해하기도 하였다. 사당 뒤쪽으로 선생의..

성삼문을 모시기 위해 세운 사당,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1호_금남 문절사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1호 _ 금남 문절사 (錦南 文節祠) 면 적 : 63.6㎡ 지정일 : 2012.12.31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 330-5 매죽헌 성삼문을 모시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성삼문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사육신의 한사람이다. 충청남도 홍성 출신으로 세종 20년(1438)에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집현전 학사로 뽑혀 세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다. 그는 명나라에 가서 음운과 교장(敎場)의 제도를 연구해와서 1446년 10월 9일에 역사적인 훈민정음을 반포하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또한 박팽년, 허조등과 단종복위 운동을 계획하였으나 실패하고, 세조에게 모진 고문을 받다 능지처사를 당하였다. 조선시대 대표적인 절신으로 오늘에 이르기까지 국민들에게 숭상의 대상이 되고 있는 사육신의..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4호_연동 송용리 마애여래입상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4호 _ 연동 송용리 마애여래입상 (燕東 松龍里 磨崖如來立像) 수량/면적 : 1기/ 24.1㎡ 지정일 : 2012.12.31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송용리 99-3번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송용리 내판역 근처 얕은 구릉에 있는 마애불이다. 커다란 배(舟)모양의 광배(光背) 가운데에 돋을새김한 이 불상은 오른쪽 눈 윗부분이 파손되어 있으며, 무릎 아래는 땅에 묻혀 있다. 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게 표현되었으나 파손되어 일부만 남아있으며, 얼굴은 이목구비가 뚜렷하다. 가슴 앞에 올린 두 손은 손바닥을 가슴으로 향하고 있어 이 불상이 아미타여래를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이 불상은 조각수법이 형식적이고 뛰어나지 못하나 전체적으로 육중하여 안정감을 준다..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3호_소정 대곡리 삼층석탑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3호 _ 소정 대곡리 삼층석탑 (小井 大谷里 三層石塔) 수량/면적 : 1기/ 7.4㎡ 지정일 : 2012.12.31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 559-1번지 화강암으로 된 이 탑은 옥개석(屋蓋石) 부분이 많이 파괴되었다. 탑의 전체 높이는 130㎝에 불과하며 정사각형에 가까운 지대석 위에 최근 보수한 시멘트로 된 중대석(中臺石)과 그 위에 상대석(上臺石)과 삼층 탑신(塔身)이 올려져 있다. 옥개석과 탑신이 하나의 돌로 되어 있고 옥개석 아랫부분에는 3단의 옥개받침이 있으며 옥개석 추녀는 약간 반전(反轉)되었다. 상륜부(相輪部)는 둥근 모양의 노반(露盤)만 있으나 노반 중앙에 구멍이 있는 것으로 보아 원래는 상륜(相輪)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소정 대곡리 삼층석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