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안중근 의사 글씨 5

안중근(安重根)의 <천당지복 영원지락>

"천당의 복은 영원한 즐거움이다." 천주교인 안중근 의사의 신앙심을 느낄 수 있는 글씨이다. 안중근 의사는 1897년 세례를 받은 이후 독실한 신앙심을 지니고 살았다. 유일하게 남아 있는 안중근 의사의 인장에는 "COREE AN THOMAS"라는 세례명과 함께 태극기와 십자가가 새겨져 있는데, 한국인이자 천주교 신자였던 안중근 의사의 정체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115주년 기념 특별전전시기간 : 2024.10.24.(목) ~ 2025.03.31.(월)장 소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 2024.10.25, 대한민국역사박물관_안중근 書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안중근(安重根)의 <불인자 불가이구처약>

"어질지 못한 자는 궁핍한 곳에서 오래 견디지 못한다." 어질지 못한 사람은 좋지 않은 환경을 견디지 못하고, 어진 사람은 어떠한 환경에도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힘든 환경에도  독립운동에 몸 바친 안중근 의사와 가문의 절개를 알 수 있는 구절이라 생각된다.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115주년 기념 특별전전시기간 : 2024.10.24.(목) ~ 2025.03.31.(월)장 소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 2024.10.25, 대한민국역사박물관_안중근 書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안중근(安重根)의 <계신호기소부도>

"아무도 보지 않는 곳에서 경계하고 삼가한다." 누가 보지 않더라도 소홀히 행동하지 않고 항상 준비되어 있는 군자의 자세를 일컫는 말이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독립운동을 모색했던 안중근 의사의 마음가짐을 보여주는 글씨라 생각된다. 안중근 의사는 연해주 지역 의병의 침체에 연연하지 않고 단지동맹, 우덕순 등과 함께 후일을 도모헸다.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115주년 기념 특별전전시기간 : 2024.10.24.(목) ~ 2025.03.31.(월)장 소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 2024.10.25, 대한민국역사박물관_안중근 書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보물 제569-24호_안중근의사 유묵 - 천여불수반수기앙이

보물 제569-24호 _ 안중근의사 유묵 - 천여불수반수기앙이 (安重根義士 遺墨 - 天與不受反受其殃耳) 수    량 : 1점지정일 : 1999.12.15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시   대 : 1910년 「안중근의사유묵-천여불수반수기앙이(安重根義士遺墨-天與不受反受其殃耳)」는 안중근 의사가 만주 여순(旅順) 감옥에서 휘호(揮毫)한 것 중 하나로 "天與不受反受其殃耳(하늘이 주는 것을 받지 않으면, 도리어 그 재앙을 받을 뿐이다)" 9자를 행서체(行書體)로 중앙에 종서(縱書)하고 "庚戌二月 於 旅順獄中大韓國人 安重根書"라 쓴 왼쪽 아래편에 안중근 의사의 수장인 (手掌印)이 찍혀 있다. 안중근 의사가 순국하기 전인 1910년(庚戌) 2월에 쓴 것으로 안중근 의사의 의지가 돋보이는 작품이다.안중근의사 유묵 -..

문화재/보물 2024.10.29

보물 제569-8호_안중근의사유묵-인무원려난성대업

보물 제569-8호 _ 안중근의사유묵-인무원려난성대업 (安重根義士遺墨-人無遠慮難成大業)                 수   량 : 1점지정일 : 1972.08.16소재지 : 서울 동작구 상도로 369, 한국기독교박물관 (상도동,숭실대학교)  시   대 : 1910년 「안중근의사유묵-인무원려난성대업(安重根義士遺墨-人無遠慮難成大業)」은 안중근(安重根:1879∼1910) 의사가 1909년 10월 26일 만주 하얼빈 역에서 조선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사살한 뒤 여순감옥(旅順監獄)에서 1910년 3월 26일 사망하기 전까지 옥중에서 휘호한 유묵을 일괄ㆍ지정한 것 중의 하나이다. 일괄 지정된 이 작품들은 1910년 2월과 3월에 쓴 것으로 글씨 좌측에 “경술이(삼)월, 어여순옥중, 대한국인안중근서..

문화재/보물 2017.10.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