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응석 스님 2

지장보살본원경 언해

_ 응석 스님 등, 조선 1879년, 종이에 인쇄,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응석 스님이 변상도를 그린 지장보살원경의 한글 해설서 보정사에서 간행한 『지장보살본원경 』을 번역한 불서로 변상도는 19세기에 활동한 응석 스님이 맡았습니다. 변상도에 표현된 독특한 연화대좌에 앉은 석가모니부처님은 응석 스님의 불화에서 보이는 표현입니다. 2024.09.21, 불교중앙박물관_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 본찰 봉선사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흥국사 팔상도

_ 응석(應碩) 스님 등, 조선 1866년, 비단에 채색, 흥국사흥선대원군이 발원한 팔상도(八相圖)1869년 흥선대원군을 비롯한 왕실 관련 인물들이 발원하여 제작한 불화입니다. 총 8폭으로 이루어 졌으며 각 폭에 3~5개의 장면을 배치하였습니다. 구름, 나무, 전각 등을 사용하여 각 장면을 구분하고 화제를 적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제작 당시 서울, 경기 일대에서 유행한 팔상도가 아닌 통도사 팔상도 초본을 활용하여 전통을 계승한 것입니다. 제작에는 응석 스님과 16명의 스님이 참여하였는데, 응석 스님은 전통적인 양식을 계승하면서 서양화법인 음영표현을 구사하였습니다. 2024.09.21, 불교중앙박물관_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 본찰 봉선사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