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인문 작품 3

이인문(李寅文)의 <선면송계한담도>

_ 이인문(李寅文, 1745~1824이후), 조선 18세기말~19세기 초, 종이에 엷은 색(紙本淡彩), 국립중앙박물관 소나무 숲 계곡에서의 담소 소나무와 물가를 배경으로 담소를 나누는 모습은 이인문이 즐겨 그렸던 소재이다. 큰 부채 화면에 어울리게 키 큰 소나무를 활달한 필치러 그렸다. 비가 온 뒤인 듯 계곡에 물이 불어 힘차게 흐르고 있다. 여름 계곡의 정경을 시원하게 표현했다. 이인문은 동갑이었던 김홍도(金弘道)와 가깝게 지냈고, 그와 함께 명성이 높았던 화원화가였다. 강세황(姜世晃), 신위(申緯) 등 사대부 화가들과도 교류했다. 그는 산수화와 인물화를 많이 남겼으며, 화면 구성이 치밀하고 표현이 세밀한 것이 특징이다. 고송유수도인(古松流水道人) (이인문의 호)  2024.05.17, 국립중앙박물관 ..

이인문(李寅文)의 <소나무 아래 더위 피하기(松壇避暑圖)>

《화원별집(畵苑別集)》 제4책 _  이인문(李寅文, 1745~1824이후)  조선 18세기 말~19세기 초, 종이에 엷은 색(紙本淡彩)《화원별집》 은 조선 15세기부터 18세기 말까지의 산수, 인물, 화조, 사군자 등 다양한 그림 80점이 수록된 화첩이다. 이 그림은 18세기 후반 김홍도와 함께 도화서 화원을 대표했던 이인문이 그린 것으로 계곡 주변 소나무 아래에서 사람들이 담소를 나누는 장면을 담았다. 키 큰 소나무를 두드러지게 그리고, 탑이 있는 사찰 등 먼 풍경은 담묵으로 처리했다. 앞쪽과 오른쪽 바위 표면을 각진 사찰 등 먼 풍경은 담묵으로 처리했다. 앞쪽과 오른쪽 바위 표면을 각진 붓질로 그렸다. 이는 그가 즐겨 사용했던 대부벽준(大斧劈皴)으로 바위 표면을 큰 도끼로 쪼갠 단면처럼 붓을 끌며 그..

이건희컬렉션, 이인문(李寅文)의 <송하관폭도>

_ 이인문(李寅文, 1745~1821), 조선18세기 말~19세기 초, 종이에 엷은 색, 국립중앙박물관 소나무 아래에서 폭포를 보다 물가 소나무 아래에서 유유자적하는 인물이 그려져 있어, 무더위를 피해 계곡을 찾은 추억을 떠오르게 하는 그림이다. 화면을 장악하는 소나무 두 그루를 먹의 농담과 굵기를 조절하며 자신 있게 표현했다. 소나무 사리로 보이는 폭포는 엷게 칠하고, 아래 물줄기는 선명하게 그려서 공간의 깊이를 구현했다. _ 이인문(李寅文, 1745~1821) 2022.04.28., 국립중앙박물관, 故 이건희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_어느 수집가의 초대 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