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보물 제407호 _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天安 三台里 磨崖如來立像)
수 량 : 1좌
지정일 : 1964.09.03
시 대 : 조선시대
소재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삼태리 산 28-1
충청남도 천안시 풍세면 태학산의 해선암 뒷산 기슭 큰 바위에 높이 7.1m나 되는 거대한 불상이 조각되어 있으며 마애불 윗부분의 바위에는 건물이 있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얼굴 부분은 도드라지게 조각하고 신체는 선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는데, 이는 고려 후기 마애불의 일반적인 양식으로 이 작품이 만들어진 시기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민머리 위에는 둥근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게 솟아 있다. 양감있는 넓적한 얼굴은 가는 눈·커다란 코·작은 입으로 인해 더욱 경직된 인상을 풍긴다. 목은 짧아서 거의 없는 것 같이 보이며 이로 인하여 목에 있어야 할 3줄의 삼도(三道)는 가슴까지 내려와 있다. 어깨는 넓기만 할 뿐 양감이 없으며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묵직하게 처리하였다. 상체와 양쪽 옷자락에는 세로선의 옷주름을 표현하였고 하체에는 U자형의 옷주름을 새겼는데, 옷주름은 좌우가 대칭을 이루고 있어 도식화된 면을 엿볼 수 있다. 두 손은 가슴까지 들어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했으며 오른손은 왼손 위에 손등이 보이도록 하였다. 이는 고려시대 유행하던 미륵불상의 손모양으로 이 불상의 성격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이 불상은 전체적인 형태나 얼굴 모습, 옷주름의 표현 등에서 고려시대의 불상 양식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거대한 마애불로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얼굴 부분은 도드라지게 조각하고 신체는 선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는데, 이는 고려 후기 마애불의 일반적인 양식으로 이 작품이 만들어진 시기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민머리 위에는 둥근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게 솟아 있다. 양감있는 넓적한 얼굴은 가는 눈·커다란 코·작은 입으로 인해 더욱 경직된 인상을 풍긴다. 목은 짧아서 거의 없는 것 같이 보이며 이로 인하여 목에 있어야 할 3줄의 삼도(三道)는 가슴까지 내려와 있다. 어깨는 넓기만 할 뿐 양감이 없으며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묵직하게 처리하였다. 상체와 양쪽 옷자락에는 세로선의 옷주름을 표현하였고 하체에는 U자형의 옷주름을 새겼는데, 옷주름은 좌우가 대칭을 이루고 있어 도식화된 면을 엿볼 수 있다. 두 손은 가슴까지 들어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했으며 오른손은 왼손 위에 손등이 보이도록 하였다. 이는 고려시대 유행하던 미륵불상의 손모양으로 이 불상의 성격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이 불상은 전체적인 형태나 얼굴 모습, 옷주름의 표현 등에서 고려시대의 불상 양식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거대한 마애불로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보물 제407호 _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天安 三台里 磨崖如來立像)
보물 제407호 _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天安 三台里 磨崖如來立像)
보물 제407호 _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天安 三台里 磨崖如來立像)
보물 제407호 _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天安 三台里 磨崖如來立像)
보물 제407호 _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天安 三台里 磨崖如來立像)
글 문화재청
728x90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851호_논산 쌍계사 소조석가여래삼존불상(2015.03.15.일요일) (0) | 2019.05.28 |
---|---|
보물 제408호_논산 쌍계사 대웅전(2015.03.15.일요일) (0) | 2019.05.28 |
보물 제406호_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0) | 2019.05.27 |
보물 제405호_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0) | 2019.05.27 |
보물 제403호_수원 화서문(2014.05.11.일요일) (0) | 2019.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