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운주사에 있는 문화재
1. 보물 제796호 _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
2. 보물 제797호 _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3. 보물 제798호 _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
4. 사적 제312호 _ 화순 운주사지
5.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3호 _ 운주사 와형 석조여래불
6.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4호 _ 운주사 광배 석불좌상
7.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5호 _ 운주사 마애여래좌상
8.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6호 _ 운주사 칠층석탑
9.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_ 운주사 쌍교차문 칠층석탑
10.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8호 _ 운주사 석조불감앞 칠층석탑
11.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9호 _ 운주사 거북바위교차문칠층석탑
12.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0호 _ 운주사 대웅전앞 다층석탑
13.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1호 _ 운주사 칠성바위앞 칠층석탑
14.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2호 _ 운주사 발형 다층석탑
15.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56호 _ 운주사 거북바위 5층석탑
16.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57호 _ 운주사 수직문 칠층석탑
보물 제796호 _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 (和順 雲住寺 九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11.30
소재지 :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산36
시 대 : 고려시대
운주사로 들어가는 남쪽 골짜기의 첫 입구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커다란 바윗돌로 바닥돌과 아래층 기단을 삼고 그 위로 윗층 기단을 쌓은 후 9층에 이르는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윗층 기단의 가운데돌은 4장의 널돌로 짜였으며, 네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긴 후 다시 면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굵게 새겨 면을 둘로 나누어 놓았다. 또한 기단의 맨윗돌은 탑신의 1층 지붕돌로 대신하고 있는 점이 특이한데, 운주사의 모든 탑이 이러하여 고려시대로 오면서 나타난 특징으로 보인다. 탑신의 각 몸돌에는 면마다 2중으로 마름모꼴을 새기고, 그 안에 꽃무늬를 두었는데, 이러한 수법은 운주사의 석탑에서만 볼 수 있다. 각 지붕돌은 밑면이 약간 치켜올려져 있고, 여러 겹의 빗살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꼭대기에는 원기둥모양으로 다듬은 돌과 보륜(寶輪:바퀴모양의 장식)이 올려져 머리장식을 이루고 있다.
탑의 면이 사각형인 것은 고려시대의 일반적인 탑들과 같으나, 지붕돌 밑면에 받침을 생략한 모습이나 각 면에 새긴 장식이 일반형에서 벗어난 모습들은 보기 드문 예이다. 이는 지방적인 색채가 뚜렷했던 고려시대의 특징을 잘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운주사의 여러 탑 가운데 높이가 가장 높은 것으로, 원래 지방유형문화재 제8호였다가 1984년 보물로 등급이 조정되었다.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 표지판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 표지석
보물 제796호 _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 (和順 雲住寺 九層石塔)
보물 제796호 _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 (和順 雲住寺 九層石塔)
보물 제796호 _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 (和順 雲住寺 九層石塔)
보물 제796호 _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 (和順 雲住寺 九層石塔)
보물 제796호 _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 (和順 雲住寺 九層石塔)
2016.04.03, 화순 운주사
글 문화재청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798호_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2016.04.03) (0) | 2019.09.07 |
---|---|
보물 제797호_화순 운주사 석조불감(2016.04.03) (0) | 2019.09.07 |
보물 제795호_장흥 천관산 삼층석탑(2015.08.05) (0) | 2019.09.06 |
보물 제793호_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복장유물 (0) | 2019.09.06 |
보물 제756호_감지금니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7(2016.01.23) (0) | 2019.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