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보물 제797호 _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和順 雲住寺 石造佛龕)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11.30
소재지 :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941-32
시 대 : 고려시대
불감이란 불상을 모시기 위해 만든 집이나 방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건축물보다는 그 규모가 작다. 다탑봉(多塔峰) 골짜기에 자리한 운주사 석조불감은 건물 밖에 만들어진 감실의 대표적 예이다.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산의 정상에 이르는 동안 여러 기의 석탑과 불상을 볼 수 있다.
감실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양쪽 벽을 판돌로 막아두고 앞뒤를 통하게 하였다. 그 위는 목조 건축의 모양을 본떠 옆에서 보아 여덟팔(八)자모양인 팔작지붕처럼 다듬은 돌을 얹어놓았다. 감실 안에는 2구의 불상이 모셔져 있는데, 특이하게도 등이 서로 맞붙은 모습으로 흔히 볼 수 없는 예이다. 불상을 새긴 수법은 그리 정교하지 않지만, 고려시대에 들어 나타난 지방적인 특징이 잘 묻어나온다.
이처럼 거대한 석조불감을 만든 유례를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등을 서로 맞댄 감실 안의 두 불상 역시 특이한 형식으로 매우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보물 제797호 _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和順 雲住寺 石造佛龕)
보물 제797호 _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和順 雲住寺 石造佛龕)
보물 제797호 _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和順 雲住寺 石造佛龕)
보물 제797호 _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和順 雲住寺 石造佛龕)
불감 남쪽의 불좌상
불감 북쪽의 불좌상
글 문화재청
728x90
'문화재 > 보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822호_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0) | 2019.09.10 |
---|---|
보물 제798호_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2016.04.03) (0) | 2019.09.07 |
보물 제796호_화순 운주사 구층석탑 (0) | 2019.09.07 |
보물 제795호_장흥 천관산 삼층석탑(2015.08.05) (0) | 2019.09.06 |
보물 제793호_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복장유물 (0) | 2019.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