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공명덕병위의(숙향부우궤 구절) _ 소지도인(昭志衜人) 강창원(姜昌元, 1918~2019), 1973, 55세, 윤은섭 소장
恭明德秉威義(叔向父禹簋句)
'공명덕병위의(恭明德秉威義)'는 탁본의 둘째 행(行) 마지막 두 글자부터 세째 행 처음 네 글자로 이어져 있다. 이 탁본의 금문들은 '숙향부우궤(叔向父禹簋)' 안쪽에 음각(陰刻)된 것이다. '궤(簋)'는 큰 제사용 그릇의 이름이다.
공명덕병위의(숙향부우궤 구절) 표지판
공명덕병위의(숙향부우궤 구절)
▼ 소지도인 강창원의 달제어입니다.
달제어(獺祭魚) _ 소지도인(昭志衜人) 강창원(姜昌元, 1918~2019), 2009, 92세, 강예나 소장
獺祭魚 禮記句(달제어 예기구)
己丑孟秋偶過友共飮酩醉歸家興書後醒書如此
을축년 이른 가을 우연히 지나가던 친구와 더불어
술을 마시고 취하여 집으로 돌아가
글씨를 쓰고 싶어져 술이 깬 다음 이와 같이 썼다
此包裝紙非宣紙然赤書如此
이 종이는 포장지로 비록 화선지는 아니지만
그러나 역시 이와 같이 써지지 않는가?
勿笑 九十二叟 昭志衜人
웃지 마시라! 92세 소지도인
소지도인 강창원은 '달제어(獺祭魚) : 수달이 고기를 잡아 제사를 지내다' 라는 예기(禮記)의 구절을 썼다.
달제어(獺祭魚)
과천 추사박물관_소지도인 강창원 기증특별전
글 추사를 따라 또 다른 길을 가다, 서예가 강창원 평전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
'문화재 > 한국 서화,회화, 서예, 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의 숙필시연(熟筆試硏) (0) | 2021.06.19 |
---|---|
소지도인(昭志衜人) 강창원(姜昌元)의 美 (0) | 2021.06.16 |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의 화목련실(華木蓮室) (0) | 2021.06.14 |
소지도인( 昭志衜人) 강창원(姜昌元)의 고려 조선 대한민국 (0) | 2021.06.12 |
소지도인( 昭志衜人) 강창원(姜昌元)의 천사수복(天賜壽福) (0) | 2021.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