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사찰

순천 개운산 동화사 (2017.04.23)

기리여원 2017. 4. 26. 05:19
728x90

 

 

 

 

 

 

 

 

 

 

 

 

 

 

 

 

 

 

 

 

 

 

 

 

 

개운산 동화사 (開雲山桐華寺) 편액

 

 

 

 

 

 

 

 

개운산 동화사 봉황루(開雲山 桐華寺 鳳凰樓)

 

 

개운산 동화사 봉황루(開雲山 桐華寺 鳳凰樓) 현판

 

 

 

 

 

보물 제831호 _ 순천 동화사 삼층석탑 (順天 桐華寺 三層石塔) 

 

수   량 : 1기

지정일 : 1985.01.08

소재지 : 전남 순천시 별량면 동화사길 208, 동화사 (대룡리

시   대 : 고려시대 10세기

 

동화사의 법당 앞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밑부분인 기단(基壇)이 땅속에 거의 파묻힌 채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쌓아 올렸다.

땅위로 드러난 기단의 맨윗돌은 4장의 돌로 짜여져 있으며 경사져 있다. 탑신은 모두 지붕돌과 몸돌이 각각 한돌로 이루어져 있고,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수는 모두 3단씩이나, 높이의 차가 심해서 형식화된 느낌을 준다. 또한, 지붕돌 네 귀퉁이의 옆면을 급하게 깍아 지붕돌 전체가 무거워 보인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노반, 복발, 앙화, 보륜, 보개(寶蓋:지붕모양의 장식) 등이 거의 온전히 남아있다.

탑의 규모가 작아지면서 각 부분의 표현이 약해지고, 지붕돌 밑면의 받침도 3단으로 줄어드는 등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로 이어지는 탑의 양식이 잘 나타나 있다.

 

 

 

 

보물 제831호 _ 순천 동화사 삼층석탑 (順天 桐華寺 三層石塔) 

 

 

 

 

 

 

 

 

 

 

 

 

 

 

 

 

 

보물 제831호 _ 순천 동화사 삼층석탑 (順天 桐華寺 三層石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61호 _ 동화사대웅전 (桐華寺大雄殿)

 

수   량 : 1동

지정일 : 1976.09.30

소재지 : 전남 순천시 별량면 동화사길 208 (대룡리)

 

개운산에 위치한 동화사는 고려 초기 대각국사가 지은 사찰로 조선 숙종 22년(1696) 계환대사가 일부 건물을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동화사 대웅전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시는 법당으로,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놓인 다포양식 건물로이다.

동화사 대웅전은 조선 중기 이후의 다포양식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로서 공포의 화려함과 건물 자체에서 풍기는 아담한 조형미는 이 건물을 한층 돋보이게 한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61호 _ 동화사대웅전 (桐華寺大雄殿)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61호 _ 동화사대웅전 (桐華寺大雄殿)

 

 

 

 

 

동화사대웅전 (桐華寺大雄殿) 현판

 

 

 

 

 

 

 

 

동화사 감로전 (桐華寺 甘露殿)

 

 

동화사 감로전 (桐華寺 甘露殿) 현판

 

 

 

 

 

 

 

 

 

 

 

 

 

 

동화사 삼성각(桐華寺 三聖閣)

 

 

동화사 삼성각(桐華寺 三聖閣) 현판

 

 

 

 

 

 

 

 

 

 

 

 

 

 

 

 

 

 

 

 

 

 

 

 

 

 

 

 

 

 

 

 

 

 

 

 

 

 

 

 

 

 

 

 

 

 

 

 

 

 

 

 

 

 

 

 

 

 

 

 

 

 

 

 

 

 

 

글 문화재청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