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화재/비지정문화재 416

<청자 원숭이 · 석류모양 연적>

원숭이 · 석류모양 연적(靑磁猿 · 石榴形硯滴) > _ 고려 12세기, 경기도 개성 부근, 국립중앙박물관 목 뒤에 방울을 달고 있는 원숭이가 석류 열매에 매달려 있습니다. 실제로는 원숭이가 석류보다 크지만, 여기에서는 석류가 원숭이보다 큽니다. 상형청자에서는 이처럼 비현실적인 장면을 표현하는 것도 가능했습니다. 연적이라는 그릇 고유의 기능을 유지하되 소재의 특징과 조형미를 초대한 살려 제작한 감각과 기술력이 돋보입니다. 원숭이 · 석류모양 연적(靑磁猿 · 石榴形硯滴) >  원숭이 · 석류모양 연적(靑磁猿 · 石榴形硯滴) > 2024.12.13, 국립중앙박물관_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청백자 오리모양 향로>

_  중국 북송, 1941년 Russell Tyson 기증, 미국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접시 모양의 받침과 연꽃모양 몸체가 하나로 되어 있고 그 위에 오리모양뚜껑이 있습니다. 연꽃모양 향로와 새모양 뚜껑은 중국 여요(汝窯)나 고려 상형청자에서도 발견되지만, 경덕진요(景德鎭窯) 제작으로 알려진 이 향로는 연꽃잎이 좀 더 입체적으로 표현되었습니다 2024.12.13, 국립중앙박물관_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윤두수필간찰>

_ 윤두수( 尹斗壽, 1533~1601) 씀, 조선 16세기, 종이에 먹, 2022년 윤한구 기증 윤두수가 쓴 편지 윤두수가 쓴 편지를 모은 것이다. 햅쌀과 산마를 보내준 것에 대한 감사 인사, 아들에게 보내는 안부, 정철에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글이다. 제일 오른쪽은 윤두수의 9대손이 윤두수의 생몰년, 관직 등의 일생을 정리해놓은 글이다. 2024.02.02, 국립중앙박물관_기증관 개편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유영수양관연명지도>

<유영수양관연명지도(留營首陽館延命之圖)> _ 작가 미상, 조선 1580년경, 비단에 색, 2015년 윤인구 기증,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황해도 관찰사 부임 해평윤씨 종가에 전해오던 그림으로, 1571년(선조 4) 오음(梧陰) 윤두수(尹斗壽, 1533~1601)가 황해도 관찰사로 부임하던 날의 광경을 묘사하였다. 아랫부분에는 관찰사 부임 행렬이 있고, 그 위로 황해도 감영 본청인 수양관과 종루, 성벽 등이 있다. 그림 상단의 제목은 윤두수의 동생 윤근수(尹根壽, 1537~1616)가 썼고, 그림 오른편에는 1581년 윤두수가 지은 시가 적혀 있다. 이 그림은 16세기 황해도 감영 및 관찰사 부임 행렬의 전모를 보여주고 있어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유영수양관연명지도(留營首陽館延命之圖)> 2024.02.02..

<오시복 교지>

_ 조선 1692년, 종이에 먹, 2005년 오재영 기증,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692년(숙종 18) 6월 3일 오시복(吳始復, 1637~1716)을 이조판서(吏曹判書) 겸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로 임명하는 교지이다. 오시복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662년(현종 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다. 숙종 때 이조참판, 개성유수를 거쳐 강릉부사, 호조판서를 지냈다. 2024.02.02, 국립중앙박물관_기증관 개편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권경로 교지>

_ 조선 1457년, 종이에 먹, 2001년  권인준 기증,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457년(세조 3) 9월 19일 권경로를 의흥위후부사직(義興衛後部司直)으로 임명하는 임명장이다. 붉은색 글자에 사각 도장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찍혀 있다. 임진왜란 이전의 문서로서 의미가 크다. 2024.02.02, 국립중앙박물관_기증관 개편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이희발 시호교지>

_ 조선 1872년, 종이에 먹, 2010년 영천이씨, 운곡종회 기증,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이희발(李義發, 1768~1849)에게 '희정공(僖靖公)'의 시호를 내리는교지이다. 이희발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영천(永川)이며 자는 우문(又文), 호는 운곡(雲谷)이다. 1795년(정조 19)에 규장각의 초계문신(秒啓文臣)으로 발탁되어 관직에 올랐다. 1847년(헌종 13) 병조참판(兵曺參判)으로 있으면서 군사력 강화에 힘썼고 언로 (言路) 개방도 주장하였다. 1949년에 형조판서(型曺判書)에 올랐으나 병환으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2024.02.02, 국립중앙박물관_기증관 개편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사옹원 주부 교지>

_ 조선, 1863년 사옹원 주부를 임명하는 문서 심의훈(沈宜薰, 1829~ ?년)을 사옹원(司饔院) 주부(主簿)에 임명한다는 내용의 임명장으로 1863년(철종 14) 7월에 발급되었다. 주부는 음식을 했던 실무자가 아닌 종6품 관리직이며 『경국대전』에도 소속 관원으로 기록되어 있다. 2024.11.07, 국립고궁박물관_궁중음식, 공경과 나눔의 밥상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청자 원숭이모양 묵호>

_ 고려 12세기, 경기도 개성 부근, 국립중앙박물관 묵호는 먹물을 담는 항아리입니다. 항아리를 번쩍 들어 안고 있는 원숭이의 고된 표정을 재치있게 표현했습니다. 원숭이 목 뒤에 달린 방울에서 문인 이규보(李奎報, 1168~1241)가 실제로 보고 글로 썼던 애완용 원숭이가 연상됩니다. 항아리와 원숭이라는 두 소재의 절묘한 결합, 묵호의 기능과 아름다운 형태의 조화가 구현된 작품입니다. 2024.12.13, 국립중앙박물관_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6·25전쟁 참전 유엔군 서명 태극기>

_ 1950년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6·25전쟁에 참전한 미 공군 Dickerson이 유엔군의 사인을 받은 태극기이다. 사인과 함께 이름, 출신지역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강릉, 진해, 대구 등지에 있던 비행단이 " K-18 Kandnun", "K-10(Chin Hai)", "Taegu"등으로 적혀 있다. 2024.10.25, 대한민국역사박물관전시자료 ▼보시고 유익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