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유형문화재/전북특별자치도 83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3호_청림리 석불좌상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3호 _ 청림리 석불좌상 (靑林里石佛坐像) 수 량 : 1구 지정일 : 1986.09.08 소재지 :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감교리) 시 대 : 고려시대 추정 청림리석불좌상은 일명 청림사(靑林寺) 절터로 불리는 곳에 있었던 불상으로 지금은 개암사 경내로 옮겨져 있다. 이 석불좌상은 원래 목과 몸체 부분이 떨어져 있었는데 근래에 복원하였다. 머리에 쓰고 있는 두건은 어깨와 등부분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손은 오른손 위에 왼손을 포갠 뒤 양 손의 엄지 손가락을 곧게 펴 맞대고 있다. 모아진 손바닥으로 구슬을 감싸 쥐고 있어서 지장보살을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자연석을 받침대로 하고 그 위에 아래로 향한 연꽃잎을 조각한 8 각형의 대좌(臺座)를 올려 놓았다. 그 위에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0호_안심사사적비(2016.03.13)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0호 _ 안심사사적비 (安心寺事蹟碑) 수 량 : 1기 지정일 : 1984.09.20 소재지 : 전북 완주군 운주면 안심길 372, 안심사 (완창리) 사적비란 어떠한 사건에 관련된 사실이나 자취를 기록해 놓은 것으로, 이 비는 안심사 내에 자리하여 절의 사적에 관하여 적고 있다. 안심..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3호_송광사 금강문(2016.03.13)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3호 _ 송광사금강문 (松廣寺金剛門) 수 량 : 1동 지정일 : 1999.07.09 소재지 :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569번지 시 대 : 1656년 추정 종남산 남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송광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7년(867)에 보조 체징선사에 의해 지어졌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것을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2호_송광사 나한전(2016.03.13)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2호 _ 송광사나한전 (松廣寺羅漢殿) 수 량 : 1동 지정일 : 1999.07.09 소재지 :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569번지 시 대 : 1656건립,1934중수 종남산 남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송광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7년(867) 보조 체징선사에 의해 지어졌다. 송광사 나한전은 효종 7..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69호_송광사오백나한전목조석가여래삼존상및권속상일괄(2016.03.13)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69호 _ 송광사오백나한전목조석가여래삼존상및권속상일괄 (松廣寺五百羅漢殿木造釋泇如來三尊像및眷屬像一括) 수 량 : 526구 지정일 : 1999.04.23 소재지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송광사(松廣寺)의 나한전에 모셔진 불상으로, 삼존상 3구, 16나한상, 500나한상, 제석..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0호_송광사목조삼전패(2016.03.13)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0호 _ 송광사목조삼전패 (松廣寺木造三殿牌) 수 량 : 3기 지정일 : 1999.04.23 소재지 :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569번지 시 대 : 1623년-1649년 대웅전 삼존불 사이 앞쪽에 있는 나무로 만든 3점의 패(牌)이다. 전체적인 만든 방법과 형태는 같으나 부분적으로는 차이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68호_송광사명부전소조지장보살삼존상및권속상일괄 (2016.03.13))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68호 _ 송광사명부전소조지장보살삼존상및권속상일괄 (松廣寺冥府殿塑造地藏菩薩三尊像및眷屬像一括) 수 량 : 26구 지정일 : 1999.04.23 소재지 :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569번지 완주 송광사는 867년에 보조국사(普照國師) 체징(體澄)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_송광사동종 (2016.03.13)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 _ 송광사동종 (松廣寺銅鐘) 수 량 : 1구 지정일 : 1992.06.20 소재지 :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569번지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107㎝, 입 지름 73㎝의 종이다. 종을 메다는 고리는 용이 여의주를 갖고 있는 형상이며, 옆으로 소리 울림을 도와 주는 음통이 있다. ..

728x90